앵커: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러시아 측이 최근 북러 정상회담에서 거론한 북핵 6자회담은 미국이 선호하는 대북 협상 방식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볼턴 보좌관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주 북러 정상회담에서 언급한 6자회담과 관련해 미국이 선호하는 방식은 아니지만, 관련국들과 대북 협상에 대해 긴밀한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볼턴 보좌관은 지난 28일 미국 폭스뉴스에 출연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자회담에 동의하느냐, 혹은 여전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일대일 외교를 최선의 접근법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김정은과의 3차 정상회담 가능성을 보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습니다.
볼턴 보좌관 : (6자회담식 접근법이) 배제된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선호하는 바는 아닙니다. 김정은은 적어도 지금까지 미국과의 일대일 접촉을 원했고, 그렇게 해왔습니다. (So, it's not like they are excluded but I think it's not just what our preference is. I think Kim Jong-un, at least up until now, has wanted the one-on-one contact with the United States, which is what he has gotten.)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반복적으로 언급했다”면서 “6자회담식 접근법은 과거에 실패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금요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아주 긴밀히 (논의)했듯이, 우리가 (유관국들과) 협의를 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면서 “우리(미국)는 러시아, 중국, 그리고 당연히 한국과 상의를 하고, 문재인 대통령도 몇 주 전 (워싱턴을) 다녀갔다”고 부연했습니다.
또 볼턴 보좌관은 ‘러시아가 북한 문제에 대해 협조적이었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푸틴 대통령은 항상 러시아만 생각한다”면서 러시아가 대북제재 이행을 더 강화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볼턴 보좌관 : 러시아와 중국은 (대북)제재 이행을 강화할 수 있다고 봅니다. 최근 몇 달간 꽤 잘해왔지만, 늘 더 엄격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대북압박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제재가) 결국 북한으로 하여금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을 시작하도록 한 것입니다. (Well, I think both Russia and China could tighten up their enforcement of the sanctions. I think they've been pretty good about it in recent months but I think they could always tighten up. That would help keep the pressure on North Korea, which after all is what brought them to negotiate with President Trump to begin with.)
아울러, 볼턴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지금은 단계적 접근법이 더 매력적이냐’는 질문에는 “과거의 정책을 살펴보면, 대답은 ‘아니다’”라고 말하면서 “단계적 접근법을 시도했던 과거의 정책은 모두 실패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백악관은 28일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앞서 26일 열렸던 미일 정상회담에서 북한과 관련한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을 했으며, 최근 전개 상황을 검토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양국 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대북제재 및 이를 유지하기 위한 공동 결의를 논의했다고 윌리엄 해거티 주일 미국대사가 27일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