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요즘 들어 북-중 국경지역 경계를 크게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탈북을 막기 위해 국경지역에서의 주민 이동을 통제하는 한편 국경경비대에 대한 불시 검열과 간부 인사이동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15일 “요즘 국경지역에 대한 경비가 갑자기 강화되면서 국경지역 초소마다 삼엄한 경계태세를 펴고 있다”면서 “수량이 줄어 강폭이 좁아진 강을 건너려는 탈북자가 늘어나고 있으니 이들을 적극 차단하라는 내부 지시가 국경경비대에 하달된 것으로 알고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국경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이런저런 사정으로 수시로 압록강가에 나가 일을 해야 먹고 살 수 있는데 약 일주일전부터 주민들이 강가에 접근하는 것조차 차단하고 있어 이 지역 주민들은 생업에 큰 지장을 겪고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국경지역에는 보따리(소규모) 밀수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주민들이 많은데 국경 접근이 차단되면서부터 밀무역도 대부분 중단되었다”면서 ”밀수꾼들은 국경 통제가 오래 지속되면 생계 수단이 막힐까 봐 애를 태우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이번 국경통제 조치는 탈북 후 한국행을 시도하다 중국공안에 붙잡혀 북송 위기에 처한 탈북자들이 한국과 미국 등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고 있는 문제와 연관이 있는 것 같다”면서 “아직도 상당수 주민들이 국경경비대와 연계된 탈북 브로커를 통해 탈북을 결행하는 요소를 사전에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또다른 소식통은 같은 날 ”국경경비대 간부들이 탈북 브로커나 밀수꾼들과 결탁해 저지르는 각종 불법행위를 조사하기 위해서 중앙에서 검열성원들이 파견되었다”면서 ”이번 검열에서는 소대장 이상 간부들의 사업을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불법행위가) 제기된 대상들에 대해서는 처벌과 함께 대대적인 간부인사 이동도 함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동안 국경경비대 군관들과 군인들이 탈북과 밀수를 방조하는 사례가 나타날 때마다 여러 차례 검열을 진행하였지만 이번에는 상당히 강도 높은 검열과 인사이동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국경경비대에 대한 검열과 기강 세우기 분위기가 과연 언제까지 지속되겠는지 좀 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