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달라’ 중국서 대규모 시위…“북한에 변화불씨 될 수도”

0:00 / 0:00

앵커: 중국의 수도 베이징 등 중국 전역에서 '자유를 달라'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는데요. 공산권 중국에서의 이런 모습이 북한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북한 젊은층에 '변화의 불씨'를 던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심재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장음]

‘중국은 황제를 원하지 않는다, 인민만세’, ‘언론의 자유, 신문 자유’

27일 중국 청두 거리에서 셀 수 없이 많은 시민들이 중국 정부의 권위주의를 비판하며 언론의 자유를 외칩니다.

[현장음]

같은날 중국 우한에서도 수많은 군중의 함성 소리가 들립니다.

지난 주말인 26일부터 27일, 28일 아침까지도 이어진 대규모 시위는 베이징과 상하이, 청두, 우한, 광저우 등 중국 주요 도시의 거리와 대학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졌습니다.

시위 영상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시위 목적은 중국 정부의 고강도 코로나 봉쇄정책에 반대하기 위해섭니다.

시민들은 ‘백지’를 들고 나와 항의했습니다. 언론 자유 보장도 외쳤습니다. 시진핑 정권을 비판하며 퇴진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 질서 있게 진행됐지만, 일부에서는 극한 상황도 발생했습니다.

시위를 취재하던 영국 BBC방송 기자가 중국 공안에 붙잡혀 구타당한 것이 보도됐고, 시위대와 공안이 몸싸움을 벌인 상황도 전해졌습니다.

이번 시위 기폭제는 24일 신장 위구르 지역 아파트 화재 사건입니다.

코로나 봉쇄를 위해 설치된 철제 울타리가 소방차 진입을 막아 대규모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의혹이 일었기 때문입니다.

소방차가 아파트 가까이 주차 못해 물줄기를 허공에 뿌리는 모습이 소셜미디어에 올라오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억눌렸던 중국인들이 들고 일어서는 모습이 북한 주민들에게 문화충격으로 다가가고, 변화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동북재경대학 유학 경험이 있는 30대 탈북민 이현승 글로벌피스재단 북한연구원은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번 시위는 중국 내에서 공부하고 있는 북한 유학생들을 통해 북한 내부 젊은층에 전해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중국 내 북한 노동자들을 통해서도 알려질 것이라며 북한 주민들에게 용기를 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현승 연구원 : 북한 노동자들이 8만~10만명 나와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젊은이들은 사회변화를 위해 열정적으로 활동하는데, 중국 반정부 시위, 시진핑과 공산당을 향한 목소리가 북한 사람들에게 신선하게 전해질 것입니다. 북한에서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희망이 될 수 있겠죠. 공산주의 중국에서도 이렇게 자유롭게 목소리 내는 것을 보면 충격을 받고 고무될 수 있습니다. 그들이 행동할 수 있는 불씨를 심어주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편,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28일 중국과 세계에는 평화로운 시위 권리가 있다며 중국이 코로나 감염을 전혀 용인할 수 없다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바이러스를 억제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심재훈,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