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국에 친인척 있어도 관료에 등용

0:00 / 0:00

앵커: 북한은 지금까지 남한은 물론 일본이나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은 공직에 등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우고 이를 지켜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북한당국이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도 능력만 있으면 공직에 임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을 방문한 평양 주민 소식통은 11일 “비록 노동당원이라 해도 중국에 8촌 이내의 친인척이 있으면 공직에 임용될 수 없었던 사람들도 사업만 잘 하면 얼마 전부터 하나 둘씩 공직에 발탁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사업을 잘한다는 말은 국가 시책을 적극적으로 따르고 뇌물이나 뒷돈을 잘 건네는 사람을 일컫는 말로 이 같은 공직 임용 기준의 변화는 국가에서 정식으로 포치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이 같은 공직임용 기준의 변화는 상황이 달라지면 또 다시 바뀔 가능성이 많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이 뇌물을 고여서라도 공직에 임용되는 것은 예전 같으면 어림도 없는 일이었다”면서 “올 봄에 조중수뇌상봉이 연이어 3번이나 진행되면서 조-중관계가 급속히 가까워진 현 상황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와 관련 또 다른 평양 주민 소식통은 “우리 내부의 정책이란 것이 변덕이 죽 끓듯 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지금은 중국과 관계가 좋으니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들도 선별적으로 공직에 임용될 길을 열어주고 있지만 조-중 관계가 나빠지면 어떻게 될지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김일성 때부터 김정일 시대를 거쳐 김정은에 이르기 까지 중국과의 관계는 좋아졌다 나빠졌다를 계속 반복해 왔다”면서 “그럴 때마다 중국에 친인척을 둔 사람들은 목에 힘이 들어가기도 하고 눈총을 받으며 감시당하기도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기존 공직자들 중에는 드물게 중국에 친인척이 있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면서 “이는 당국이 중국에 친인척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임용한 경우”이며 “최근에 상황이 조금 바뀌었다고 해서 이들이 중국에 친인척이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일은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