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정보기관인 중앙정보국(CIA) 국장에 직업 외교관 출신인 윌리엄 번스 전 국무부 부장관이 지명됐습니다. 향후 북핵 문제 해결에 어떤 역할을 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지에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1일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에 직업 외교관 출신인 윌리엄 번스 전 국무부 부장관을 지명했습니다.
번스 지명자는 과거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국무부 부장관을 지낸 33년 경력의 노련한 외교관으로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는 러시아 및 요르단 주재 미국 대사를 역임했습니다.
2014년 국무부에서 은퇴한 이후 현재는 워싱턴DC 소재 유수 연구기관 중 하나인 카네기국제평화재단(CEIP) 회장을 맡고 있습니다.
번스 지명자는 오바마 대통령 재임 당시 이란 핵문제에 대한 막후 협상가로서 이란 핵합의(JCPOA, 포괄적 공동행동계획) 타결로 이끌었던 이란의 일부 핵프로그램 중단 합의에 중추적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난 2019년 상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과거 북한이 합의내용을 쉽게 번복했던 점을 고려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대북 협상에서 너무 많은 것을 너무 빨리 내주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또 2019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중요한 염원(aspiration)이지만 북핵 위험을 낮추는 것이 미국의 현실적인 목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에 핵무기와 핵물질, 핵시설 목록에 근거한 검증과 사찰을 요구하며 영변 핵시설의 완전한 폐기 등 북한의 현재 핵능력 감축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또한 2019년 발표한 저서 '막후 채널'(The Back Channel)에서는 북핵 문제와 관련해 6자회담이 성과를 내지 못했고 북한과 실질적인 막후 외교 통로가 없었던 점에 대한 좌절감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CIA 북한분석관을 포함해 지난 20년 동안 정보기관에서 일했던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1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정보기관 근무 당시 정보 부처과 국무부와 같은 정책 부처는 매우 다른 별개의 기구라는 점이 강조됐다고 회고했습니다.
정책 부처는 정보기관의 정보 수집 및 분석 등에 관여하지 않고 정보기관 역시 북한 등 다른 국가와의 외교관계에 의견을 내거나 개입하지 않고 외교는 외교관들에게 전적으로 맡겨야 한다는 겁니다.
클링너 선임연구원: CIA 수장은 정보 사안과 관련해 외국 고위관리들과 소통할 순 있겠지만,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CIA 국장처럼 정보기관이 외교에 관여하는 것은 덜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CIA 국장을 지냈을 당시 2018년 3월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를 만나 그해 6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성사에 막후 역할을 했습니다.
한편, 번스 지명자가 연방 상원 인준을 통과하면 직업 외교관으로서는 처음으로 CIA 국장직에 오르게 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