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 “최인국 입북, 사실관계 파악 중”…“북, 체제선전으로 활용할 것”

0:00 / 0:00

앵커 : 한국 정부가 방북승인 없이 입북한 것으로 알려진 한국 국민 최인국 씨와 관련해 입북 경로 등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는 8일 월북한 것으로 알려진 고 최덕신, 류미영 부부의 차남 최인국 씨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개별 국민의 소재를 일일이 파악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한국 통일부 대변인 : 헌법상 거주이전의 자유가 있는 한국의 체제 특성에 따라서 개별 국민의 소재를 일일이 다 확인해서 파악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최 씨의 입북 경로와 동반 입북자 유무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는 현재 관계기관에서 파악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최 씨의 입북 경로 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양국제비행장에 도착했다는 북한 매체의 보도 내용으로 볼 때 제3국을 통해 항공편으로 입국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앞서 한국의 연합뉴스는 7일 북한 매체를 인용해 고위 월북인사인 고 최덕신, 류미영 부부의 차남 최인국 씨가 북한에 영구 거주하기 위해 하루 전날인 6일 평양에 도착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한국 국민이 공개적으로 북한으로 영주한 것은 상당히 이례적으로, 지난 1997년 오익제 전 천도교 교령이 월북한 사례가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 내 전문가들은 북한 당국이 최인국 씨의 이번 사례를 북한 안팎을 향한 체제선전용으로 적극 활용하려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 : 명성을 갖고 사는 집안의 일원이 북한으로 이주해 살겠다는 것은 북한체제가 살만한 사회다, 좋은 사회라는 인식을 많은 국민들에게, 세계에 알릴 수 있기 때문에 북한으로서는 쌍수를 들어 환영하는 것이죠. 이것을 이번 기회에 또 체제선전으로 활용하려는 것이고요.

또한 북한 당국과 북한 고위급 인사의 아들인 최 씨 사이에 입북을 두고 그 동안 교감이 있어 왔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한 북한 전문가는 최 씨의 입북에 대한 한국 정부의 반응을 살펴 한국 정부의 진정성을 시험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이상민 한국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지금까지 월북자가 몇 명 있었는지 등과 관련한 통계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 “한국 국민들의 행적을 추적해서 월북 여부를 확인한다든지 통계를 유지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북한 측에서 두 차례에 걸쳐 불법 입북한 한국 국민 2명을 송환한 바는 있다”면서 “당시 인도주의 차원에서 돌려보낸다는 취지의 언급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 씨의 부친인 최덕신 전 장관은 과거 한국의 외무장관과 서독 주재 대사로 활동했지만 박정희 전 대통령과 갈등을 빚으면서 부부가 함께 미국에 이민했고 1986년 월북했습니다.

최덕신 전 장관은 북한에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 천도교청우당 위원장, 조선종교인협의회 회장 등으로 활동했습니다.

최덕신 전 장관의 아내 류미영 씨는 남편이 사망한 뒤 이어받은 천도교청우당 위원장직을 비롯해 북한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이후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북측본부 중앙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습니다.

한국 국적자인 최인국 씨는 지난 2001년 이후 가족 상봉과 성묘 등의 목적으로 십여 차례 북한을 방문했습니다.

최근에는 모친 류미영 씨 사망 직전이었던 2016년 11월과 이후 사망 1주기, 2주기 행사 참석차 방북했습니다.

최인국 씨는 이전에 방북할 당시 한국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았지만 이번 평양행을 위해서는 방북 신청을 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