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판문점서 김정은 명의 이희호 조의문·조화 전달

0:00 / 0:00

앵커 : 김여정 북한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이 이희호 여사를 추모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 명의의 조의문과 조화를 한국 정부와 김대중평화센터 측에 직접 전달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호 통일부 차관, 김대중평화센터 부이사장을 맡고 있는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12일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으로부터 이희호 여사의 서거와 관련한 조의문과 조화를 전달 받았습니다.

정의용 실장을 비롯한 한국 측 인사들은 이날 오후 판문점 북측 지역의 통일각을 방문해 김여정 부부장을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김 부부장은 한국 측 인사들에게 김정은 국무위원장 명의의 조의문을 전달했습니다.

정 실장은 조의문과 조화를 수령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여정 부부장이 남북이 계속 협력하길 바란다는 말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정의용 한국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 (김여정 부부장은) 이희호 여사가 그동안 민족 간의 화합과 협력을 위해 애쓰셨기 때문에 그 뜻을 받들어 남북 간의 협력을 계속해 나가길 바란다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김정은 위원장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메시지나 친서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 측에 전달한 메시지도 없었다는 것이 정의용 실장의 설명입니다.

정의용 실장은 “(이번 남북의 만남은) 고인에 대한 추모와 애도에 집중했다”고 말했습니다.

정 실장과 함께 김여정 부부장을 만난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이번에 북한의 조문단이 없었다는 점에 아쉬움을 표했고 김여정 부부장은 이를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달하겠다고 얘기했다”고 말했습니다.

윤도한 한국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기자설명회에서 “이희호 여사에 대해 각별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이 한국의 책임있는 인사에게 조의를 전달하는 것이 좋겠다는 말을 했다”는 김여정 부부장의 말을 전했습니다.

한국 청와대에 따르면 정의용 실장 등 한국 측 인사들과 김여정 부부장 등 북한 측 인사들의 만남은 오후 5시부터 약 15분 간 이어졌습니다.

김여정 부부장으로부터 전달받은 조의문과 조화는 이희호 여사의 유가족들에게 전달됐습니다.

앞서 북한은 이날 오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김 위원장 명의의 조의문과 조화를 전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북한은 “판문점 통일각에서 한국 측의 책임 있는 인사와 만날 것을 제의한다”는 통지문을 보냈습니다.

북한은 한국 정부가 지난 11일 오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해 이희호 여사의 부음을 전달한 지 하루만에 이 같은 통지문을 보낸 겁니다.

북한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난 2009년 8월 김기남 노동당 비서, 김양건 당 통일전선부장 등으로 구성된 조문단을 파견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희호 여사를 추모하는 북한 조문단의 방남 여부가 주목됐지만 결국 불발됐습니다.

2차 미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대화와 교류가 침체된 상황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됩니다. 반면 김정은 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이 직접 조의문과 조화를 전달했기 때문에 북한으로서도 최대의 예를 갖춘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부인인 이희호 여사의 발인은 오는 14일 아침 진행됩니다. 이 여사는 서울 국립현충원의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 옆에 안장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