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가정보국 “북 가상화폐 사이버공격 억지 집중”

0:00 / 0:00

앵커: 미국 정보당국이 북한 등의 가상화폐(Crypto Currency)와 관련된 사이버 공격을 억지하기 위해 막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가정보국(DNI) 산하 사이버위협정보통합센터(CTIIC)의 에린 조(Erin Joe) 국장은 29일 미국 민간연구기관 아스펜연구소에서 열린 사이버공격 억지에 대한 토론회에서 미국은 북한의 모든 사이버 공격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 국장은 이날 전력 등 미국 기간시설이나 가상화폐 거래소 등이 북한의 새로운 사이버공격 대상으로 거론되는 가운데 미국 연방정부가 집중적으로 대비하는 곳이 있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하지만 연방정부는 가상화폐와 관련된 사이버 공격을 대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에린 조 국장: 미국 연방수사국(FBI)을 비롯해 주요 연방정부 기관들은 가상화폐와 관련된 (북한 등의) 사이버상의 악의적 활동을 막기 위한 방법을 찾는데 막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There is a huge effort in the FBI and several other entities a cross government looking at ways to stop malicious a activity around crypto currency.)

조 국장은 이어 미국 기간시설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을 막기 위한 노력도 연방정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타냐 유고레츠(Tonya Ugoretz) 미 연방수사국(FBI) 부국장보(deputy assistant director)는 미국 법무부와 연방수사국은 사이버 공격을 자행한 범죄자들 찾아내 기소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고레츠 부국장보는 법무부가 지난해 9월 북한 해커 박진혁을 기소한 것을 예로 들며 사이버 공격을 감행한 개인을 기소하지 않으면 그 배후의 국가에 책임을 물수 없기 때문에 개인을 기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어 기소를 통해 사이버 범죄 내용이 상세히 소개되는 것은 일반 사람들에게 사이버 공격의 위험성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북한이 배후로 지목된 2014년 소니픽처스 해킹과 2016년 8천100만 달러를 빼내 간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해킹, 2017년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 공격 등을 한 혐의로 북한 해커 박진혁을 기소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