램버트 “네팔, 북 사이버 범죄 온상 우려”

0:00 / 0:00

앵커: 마크 램버트(Mark Lambert)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부대표가 네팔을 방문해 유엔 대북제재 이행을 촉구했습니다. 아울러 네팔이 북한의 사이버 범죄 기지로 악용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네팔 현지언론인 '히말라야 타임스(the Himalayn Times)'는 지난 15일 네팔을 방문한 램버트 부대표가 네팔 의원들과 고위 정부관리들을 만나 네팔에서 이뤄지고 있는 북한의 불법활동과 사이버 공격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신문은 램버트 대표를 만난 한 네팔 의원의 말을 인용해 램버트 부대표는 특히, 북한이 네팔을 사이버 범죄의 기지(base)로 사용할 수 있다며 네팔은 유엔 회원국으로 유엔 대북제재를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관련해 미 국무부 대변인는 1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렘버트 부대표가 네팔을 방문해 네팔 의원 및 정부 관계자들을 만난 것은 확인해줄 수 있지만 그가 이들과 나눈 사적인 외교대화의 자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I can confirm Mr. Lambert meetings but I am not going to share the details of those private diplomatic conversations)

네팔 현지언론인 '안나푸르나 익스프레스(Annapurna Express)'는 지난 5월 5일 네팔에 거주하는 수백명의 북한 국적자들이 노동허가증 없이 불법으로 일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언론에 따르면 네팔의 수도인 카트만두에는 4개의 북한 식당과 2개의 북한 정보통신 회사, 1개의 북한 병원이 있는데 여기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북한 국적자들이 네팔에서 외국인이 일하기 위해 필요한 노동허가증 없이 일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네팔 현지언론인 '카바르허브(Khabarhub)은 지난4월 6명의 북한의 해커들이 카트만두의 한 주택가 아파트에 거주하면서 세계 은행과 금융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을 벌여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 직후 지난 5월 국무부의 데이빗 랜즈(David Ranz) 남∙중앙아시아 담당 부차관보 대행은 네팔을 방문해 네팔 내무부 장관을 만나 사이버 공격 등 네팔에서 거주하는 북한 국적자들의 불법활동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습니다.

네팔은 1974년 5월 북한과 국교를 맺었는데 카트만두에 소재하고 있는 북한 대사관은 그동안 사이버 범죄, 금 밀매 등 불법활동의 온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한편, 1955년 유엔 회원국이 된 네팔은 17일 현재까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이행보고서를 제출하지 않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