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이버 안보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안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북한 해커조직을 지목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의 정보통신 전문업체인 피스칼노트(FiscalNote)가 17일, '사이버안보, 다가 올 세계 재앙(Cybersecurity, The Next Global Crisis)'이란 주제로 온라인 화상 토론회를 가졌습니다.
토론자들은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할수록 그만큼 해킹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도 지능화, 정교화되고 있다며, 정부와 민간기업, 학계 할 것 없이 방어능력을 키우는 데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미 연방수사국(FBI) 사이버범죄 수사부서에서 20년 넘게 근무했던, 미 국토안보부 사이버전략국과 미 정부 자문기구인 사이버 및 기반시설 안보국(CISA, Cybersecurity and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의 발레리 코필드(Valerie M. Cofield) 국장은 "지난 20년 동안 우리는 많은 국가적 단위의 해커들이 사이버 공간을 사용하여 미국의 권력과 미국 안보, 그리고 미국인들의 생활을 뒤엎을 일들을 저지르는 것을 봐왔다"며 그 배후에는 러시아와 중국은 물론 북한과 이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필드 국장: 수많은 형사 기소와 경제제재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사이버 공격 능력의 개발 등 우리 나라에 대한 공격은 계속됐으며, 러시아와 중국, 북한, 이란은 모두 수년 동안 심각한 공격에 책임이 있습니다.
특히, 영국 민간연구기관인 옥스포드 애날리티카(Oxford Analytica)의 폴 메이드먼트(Paul Maidment) 분석국장은 "북한은 식량과 의약품, 그리고 미사일을 위해 돈이 필요한데, 당국 차원에서 해커들을 양성한다"며 중국 북부지역에서 주로 활동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자금을 위한 사이버공격 뿐만 아니라 북한 지도자를 모욕한 집단에 대한 보복성 해킹공격은 북한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라며 지난 2014년에 발생했던 미국의 소니영화사 해킹 사건을 예로 들었습니다.
메이드먼트 국장: 북한은 본질적으로 현금을 모으기 위해 해킹을 했지만, 금전적 이득뿐만 아니라 보복과 위협 등의 목적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면서 토론자들은, 북한 등 사이버공격을 주도하는 나라 또는 조직에 대한 철저한 추적은 물론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어기술력을 높이는 데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홍알벗, 에디터 박봉현,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