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탈북자 출신 기자를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단에서 배제한 것과 관련해 한국 내 언론단체들은 한국 정부가 언론 자유를 침해했다며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기자협회와 한국신문협회 등 한국 언론단체들이 한국 통일부의 탈북자 출신 기자 배제 논란에 대해 성명을 냈습니다.
한국기자협회는 18일 성명에서 통일부가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취재기자들을 선별하겠다는 것이냐며 부처의 이해관계에 따라 특정 기자를 배제하는 것은 심각한 언론자유의 침해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한국기자협회는 특히 공동취재단 구성은 지금까지 출입기자단과 언론사에 의해 결정되어 온 것이 관행이라며 지금까지 어떤 부처에서도 공동취재단 구성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통일부에 이번 탈북자 기자의 일방적 배제와 관련해 재발 방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한국신문협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통일부를 비판했습니다.
한국신문협회는 통일부는 탈북자의 권리 보호와 안정적인 한국 정착에 가장 앞장서야 할 정부 부처라며 설령 북한 측의 반발이 있다 하더라도 탈북자 역시 엄연한 한국 국민이라는 점에서 취재 활동을 보장하고 보호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신문협회는 이어 한국 정부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빠른 시일 내에 사과와 함께 통일부 장관 등 관계자를 문책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탈북자 기자의 남북 고위급회담 취재 불허 경위를 설명하기 위해 탈북자단체 관계자들을 불러 면담을 가질 예정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관련부서에서 면담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구체적인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는 지난 15일 남북 고위급회담을 앞두고 탈북자 출신 기자의 동행 취재를 막았습니다.
당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고위급회담이 끝난 뒤 가진 회견에서 원만한 회담 진행을 위한 불가피한 정책적 판단이었다고 해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