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비핵화 협상 교착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한미 간 정책 조율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미북대화를 조속히 재개하는 방안을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도훈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5일 워싱턴으로 출국하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미북관계가 정체된 상황이 오래가는 것은 모두에게 좋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또 미북이 속히 대화를 재개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방문에서 미국 측과 미북협상의 동력을 살릴 방법들을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본부장은 현지시간 15일부터 18일까지 워싱턴에 머물며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을 포함한 미국 행정부 인사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이 본부장은 또 미북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대북제재의 틀 내에서 남북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미국과 조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재무부가 14일 발표한 추가 대북제재가 남북협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제재 내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촉진하는 것은 한국과 미국의 상호 관심사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도 남북 간 협력이 반드시 한미공조를 저해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 김은한 부대변인 : "남북협력사업에는 한미 간에 협의할 사안이 있고 남북 간에 독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영역이 있을 것입니다. 한미 간에 협의해야 할 사안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틀 내에서 한미 간에 긴밀하게 협의해나갈 예정입니다."
김은한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은 한국 국민의 북한 개별관광은 유엔 제재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말하며 북한이 이에 호응하고 신변안전을 보장한다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특히 '이산가족 개별관광’을 최우선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고려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신년기자회견에서 개별 관광은 국제 제재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말하며 남북이 자체적으로추진할 수 있는 사업 중 하나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국 외교가에선 그러나 미국이 추가 대북제재를 발표하며 북한의 자금줄을 조이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는 관광 사업을 추진하려는 한국 정부의 움직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의 야당인 바른미래당의 손학규 대표는 이날 논평을 통해 현 정부의 대북 정책을 “과도하다”고 평가하며 대북제재 하에서의 남북협력 추진에 대해 우려를 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