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 의원 “비핵화 정의와 시점 합의가 ‘미북회담’ 관건”

0:00 / 0:00

앵커 : 미국의 에드워드 마키 상원의원은 '한반도 비핵화'의 정의와 그 시점에 대한 미북간 합의가 성공적인 미북 정상회담의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민간 연구기관 ‘애틀란틱 카운슬(Atlantic Council)’에서 4일 ‘비핵화된 한반도의 미래’란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마키 의원은 북한 비핵화 문제는 무력이 아니라 대화를 통한 외교적 방법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 민주당 간사이기도 한 마키 의원은 대북 제재가 한층 강화됐던 지난해 10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무력으로는 북한 비핵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반드시 대화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며 이번 미북 정상회담이 그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마키 의원 : 나는 트럼프 대통령에게(북한 비핵화 문제에) 외교적인(diplomatic) 해결책만 있을 뿐이지 군사적인(military) 해결책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조건 없는 직접적인 대화와 경제 제재만이 우선 북한의 핵시설을 동결시키고 결국 폐기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마키 의원은 미북 양국이 ‘한반도 비핵화’의 의미와 그 시점에 대한 합의를 이루기 전까지 구체적인 비핵화에 대한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습니다.

우선 ‘한반도의 비핵화’에 핵 프로그램 뿐 아니라 생화학 무기까지 포함되는지, 주한미군 철수 등의 조건이 걸려있지는 않는지 등 세부 사항이 명확히 정의돼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또한 미북 간 비핵화 시점에 대한 이해가 다르기 때문에 양국이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 합의점을 찾는 것 또한 이번 미북 정상회담의 핵심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마키 의원은 ‘한반도 비핵화’의 정의와 비핵화 시점에 대한 합의점을 찾기 전까지는 대북 제재는 계속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마키 의원 : 이 두가지 목표를 이루기 전까지 미북 대화가 성공적인지 판단하거나 대북 제재를 해제하는 것은 너무 이릅니다. 우리는 현명하게 대북 제재를 활용해야 합니다.

마키 의원은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장기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미국의 외교력 강화를 꼽았습니다.

우선 빠른 시일 내에 한국 주재 미국 대사를 임명하고 북한에 인권 특사를 파견하는 등 대북 정책을 보다 직접적으로 관할할 수 있는 외교 담당자가 필요하다는 설명입니다.

한편 이날 행사에 함께 참석한 한국의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는 이번 남북 정상회담이 기존 회담과 달리 남북 통일보다는 평화 체제에 초점을 맞췄고, 이산가족 상봉 논의나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 방문 일정이 구체적으로 나왔다는 점, 포괄적으로나마 남북이 비핵화에 합의했다는 점 등에서 큰 성과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