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북 비핵화 논의에 촉각”

0:00 / 0:00

앵커 : 더딘 북핵 협상 진전으로 한반도 정세가 불안한 가운데 북한과 40년 이상 오랜 외교관계를 이어온 인도 역시 북한 비핵화 논의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민간연구기관 브루킹스연구소의 아시아 전문가인 탄비 마단(Tanvi Madan) 선임연구원은 22일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의 미국 워싱턴 DC 지부가 주최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북한과 역사적으로 오랜 외교관계를 가진 인도 역시 북한 비핵화 문제를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인도가 북한의 10대 교역국 중 매년 2, 3위를 차지할 만큼 경제적으로 가까운 관계일 뿐 아니라 특히 인도와 군사갈등을 빚고 있는 파키스탄이 북한과 오랜 핵과 미사일 협력국가라는 점에서 정치적 중요성을 갖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마단 선임연구원 : 인도는 북한의 두번째 무역국으로 2~3년 전부터 북핵 문제는 인도 내 큰 문제였습니다. 특히 인도는 파키스탄의 미사일 프로그램이 북한과 많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파키스탄은90년대 중반 이후부터 급속히 핵과 미사일과 관련한 긴밀한 협력관계를 지속해왔습니다.

파키스탄은 북한으로부터 미사일 부품을 공급 받는 대신 북한에 우라늄 농축용 원심 분리기 등 핵개발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을 공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도는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직전인 지난해 5월, 20년만에 북한에 쿠마르 싱 국무장관 등 고위급 인사를 보내는 등 북한에 대해 이례적인 외교 활동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마단 선임연구원은 그러나 인도 역시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를 철저하게 따르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인도는 지난해 3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따라 식품과 의약품을 제외한 사치품과 북한의 군사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품목의 수출을 전면 금지했고,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인도와 북한 간 총 교역 규모는 전년 대비 70% 가까이 감소한 바 있습니다.

토론회에 동석한 미국 사사카와평화재단(Sasakawa Peace Foundation USA)의 사토히로 아키모토(Satohiro Akimoto) 회장(president)은 일본이 동북아시아 지역 안보와 관련해 다각적인 외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미국이 한국, 일본, 중국 등과 고위급 회담이나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핵 문제에 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려는 것과 달리 동북아 내 주요 국가인 한중일 3국 간에는 별다른 협의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지적에 이 같이 답했습니다.

아키모토 회장은 또 최근 아베 총리 특사가 중국을 방문해 미일 정상회담을 조율하는 등 중국과 일본 간 상호 관계 다지기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직접적으로 북한의 미사일 위협을 받는 일본이 미북 정상회담 이후 이에 대한 우려를 덜었다며, 미북 간 추가 정상회담이 있을 것으로 낙관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