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는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러시아 관리들과 만나 조속한 북한 비핵화를 위해 미국과 러시아 간 완전히 조율된 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은 1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비건 특별대표가 이날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러시아의 이고리 모르굴로프 외무차관과 세르게이 랴브코프 외무차관을 만났다고 밝혔습니다.
비건 특별대표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를 이루기 위한 노력들을 의논하기 위해 이들과 만났다며 대화는 화기애애했고 협력할 수 있는 많은 분야들을 다뤘다고 국무부 측은 설명했습니다. (On October 16,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Stephen Biegun met with Deputy Foreign Minister Igor Morgulov and Deputy Foreign Minister Sergey Ryabkov in Moscow to discuss efforts to achieve the 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conversation was warm and friendly and explored a number of areas of cooperation.)
국무부에 따르면, 비건 특별대표는 특히 이번 만남에서 비핵화 과정이 가능한 빨리 진행되도록, 또 북한에 밝은 미래를 열어줄 조치들이 이뤄질 수 있도록 완전히 조율된 소통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러시아 측에 강조했습니다. (During the meetings, Special Representative Biegun emphasized to his counterparts the need to continue fully coordinated communication to ensure that denuclearization proceeds as quickly as possible and permit the steps that will create a brighter future for North Korea.)
국무부 측은 이어 미국이 비핵화 진전을 위해 러시아를 비롯한 이해 당사국들이 유엔 대북 제재를 단호하고 지속적으로 이행하도록 하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국무부 대변인실은 이날 비건 특별대표와 북한 측 상대로 알려진 최선희 외무성 부상과의 만남이 언제 이뤄질 지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현재로서는 북한 측과의 회담과 관련해서 발표할 회담이나 여행 일정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In regard to meetings with the North Koreans, we have no meetings or travel to announce at this time.)
한편, 미국 국방부는 이날 한국 판문점에서 남북 군사당국과 유엔군 사령부가 참여한 가운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를 위한 군사회담이 열린 것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유엔사와 남북한은 가까운 시일 내 3자 군사회의를 지속하기로 합의했다고 답했습니다. (The UNC, ROK and DPRK agreed to continue future tri-lateral military meetings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