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북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이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아직 이와 관련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을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미북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이 나올지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지난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이후 기자들과 만나 “미북 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종전에 대한 합의에 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 표명을 유보했습니다. 미북 정상회담에서의 종전선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갖고 있는 여러 구상 중 하나일 뿐 아직 이와 관련해 확정된 바는 없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종전선언’ 발언이 남북미 3자 차원의 종전선언인지, 미북 간의 적대관계를 해소하는 의미의 종전선언인지에 대해서도 아직 불분명한 상황입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재는 조심스러운 국면이기 때문에 한국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여러 구상들은 정상회담까지 진행되는 과정에서 얼마든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북이 북한 비핵화 문제에 있어 어느 정도의 조율을 이뤘는지도 관심사입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미북이 북한의 영변 핵시설을 감시할 사찰단을 1~2개월 안에 복귀시키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미북이 이 같은 내용을 정상회담 합의문에 명시하는 문제를 조율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를 위해 미국은 최근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사찰단의 북한 복귀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핵시설들은 지난 2009년 4월 IAEA 사찰관들이 추방된 이후 국제사회의 감시망에서 벗어나 있었습니다.
미북 정상회담을 앞둔 가운데 남북은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한국 정부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설하기 위한 후속조치를 위해 8일 개성공단을 방문했습니다. 남북은 지난 1일 고위급회담을 통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설을 위한 실무적인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통일부 차관은 오늘 아침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추진단의 단장으로 개성공단 지역을 방문해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와 숙소,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와 관련 시설, 장비시설 등을 점검하고 오후 5시경에 귀환할 예정입니다.
통일부는 이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설은 판문점 선언의 첫 사업”이라며 “당국자가 상주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시설 점검이 오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