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상원외교위원회 산하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의 코리 가드너(공화∙콜로라도) 위원장은 교착상태인 북핵협상의 진전을 위해 입장을 바꿀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북한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가드너 의원은 2일 오전 상원 외교위원회 실무회의 후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미국이 연말까지 현재의 계산법을 바꾸고 입장을 재정립하지 않으면 원치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 부상의 발언에 대해 비판했습니다.
입장을 바꿀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국제법을 위반하면서 핵과 탄도미사일을 개발한 북한이라는 겁니다.
가드너 의원: 북핵협상 당사국 중 국제법을 위반한 나라는 북한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방향과 정책을 바꿀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북한입니다. 북한은 국제법 위반을 중단해야 합니다.
가드너 의원은 북한이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 중단 및 폐기를 통해 국제법 위반을 멈출 때 대북 제재가 완화 혹은 해제될 수 있다면서 그 때까지 대북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미국이 대화를 통한 북핵협상을 계속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미국이 해야할 것은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실제로 이행할 때까지 대북 압박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앞서 크리스 쿤스 상원의원(민주∙델라웨어)은 지난달 30일 한국과 중국, 일본 방문 결과를 설명하는 전화 회견에서 미국이 입장을 바꿔 북한이 상당한 비핵화 조치를 취하면 미국이 일부 제재를 완화하는 '점진적' 방식을 채택하는 것은 북한이 취할 첫 단계가 무엇인지에 달려있다고 말했습니다.
쿤스 상원의원은, 그 첫 단계는 북한이 영변 핵 시설 폐기 이외에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약속하는 것이라며 이럴 때 미국도 제재 완화라는 상응 조치를 약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