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대남소통 계기로 미국의 대북 유연성∙지원 원해”

0:00 / 0:00

앵커: 북한이 최근 남북 통신선 복원을 통해 대남 소통에 나선 후 이를 계기로 북한에 대한 미국의 유연한 태도와 인도적 지원을 끌어내려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습니다. 서혜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랜드연구소의 브루스 베넷(Bruce Bennett) 선임연구원은 28일 미국 국가이익센터(CNI)가 주최한 화상회의에서 북한은 남북 소통창구 재개에 동의했다며 이는 일단 한국의 인도적 지원을 받기 위한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그는 이어 북한은 한국 측과의 대화에서 한국이 미국을 압박하길 촉구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문재인 한국 정부가 '미국은 북한을 더 유연하게 대하고 인도적 지원에도 나서야 한다'며 조 바이든 미 행정부를 강하게 설득하길 바란다는 겁니다.

Bruce_Bennett.png
28일 국가이익센터 화상회의서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이 북한과 한국 소통창구 재개에 대해 말하고 있다. /화상회의 캡쳐

베넷 선임연구원: 북한은 한국이 미국에 압박을 가해, 미국이 유연성을 가지고 북한에 백신과 식량지원 등 대북제재에 위배되지 않는 인도적 지원을 하도록 촉구하길 기대할 것 같습니다.

이날 회의에 함께 참석한 미국 퀸시인스티튜트(Quincy Institute)의 제시카 리(Jessica Lee) 선임연구원은 심각해지는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를 거론하며 대북 백신 지원은 인도적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를 정치화 하거나 북한의 핵문제와 연계해선 곤란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리 선임연구원은 북한 당국이 부작용 등을 이유로 백신 수용을 꺼린 사례를 거론하며 더 적극적으로 국제사회의 백신 지원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북한 측에 권고했습니다.

리 선임연구원: 북한은 백신과 관련해 보다 개방적이고 진취적이어야 하고, 현실적인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 국가이익센터의 해리 카지아니스(Harry Kazianis) 한반도 담당국장은 이날 회의에서, 이번주에 미 국무부 고위 관계자를 통해 북한에 코로나19 발병 사례가 분명히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북한도 예외일 순 없다고 우려했습니다.

하지만 베넷 선임연구원은 북한 당국이 이런 위험을 구실로 오히려 국경봉쇄를 더 강화하고 외부 사조유입을 철저히 배격하는 등 정치적으로 활용하려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바이든 행정부의 향후 대북정책과 관련해 미국 평화연구소(USIP)의 프랭크 엄(Frank Aum) 선임연구원을 비롯한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모두 바이든 행정부가 이제는 대북 협상재개 등 더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기자 서혜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