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농업분야 간부들에게 '첨단농사' 정책을 추진하라고 다그치고 있지만 북한이 추구하는 첨단농사에 대해 전문가들은 회의적인 평가를 내놨는데요, 자세한 내용 자민 앤더슨 기자가 보도합니다.
노동신문은 지난 11일 “올해 농사를 잘 짓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나라의 농업과학기술발전을 위한 토대를 높은 수준에 올려세우는 사업도 절대 미룰 수 없는 중대국사”라고 강조했습니다.
가뭄 피해 등 당장의 문제 해결도 중요하지만, 북한 당국이 만성적인 식량난 타개를 위한 근본적인 방안에 있어 농업과학 연구부문에 큰 역할을 요구하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북한이 추구하고 있는 과학적 농사, 첨단 농법에 대해 전문가들은 회의적입니다.
권태진 GS&J 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연구원장은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실제로 추진하고 있는 첨단 농사는 ‘첨단'이라고 하기에는 낮은 ‘중간’ 수준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곡물 육종 측면에서는 분자생물학이나 유전공학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전통적인 육종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기술이고 채소나 원예 분야에서도 한국이나 선진 농업국에서 일반화 되어있는 잡종강세(Hybrid)를 이용한 종자(F1 종자)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권 원장에 따르면 북한 내 ‘첨단’이라고 인정할만한 농업 기술은 감자 양악재배를 활용한 씨감자 생산 정도인데 이는 한국의 비영리기구와 농업과학자들이 10여년에 걸쳐 북한에 전수해 준 겁니다.
여기다 북한이 식량 생산성 개선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방안에 대한 방향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가뭄에 취약한 지역에 물 공급을 늘리기 위해 관개 시스템, 물 펌프와 같은 기계 장치의 적극적인 설치가 필요하며, 염분으로 오염된 해안 평원지역의 토지를 농사에 적합한 땅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농업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지만 북한은 이를 위한 기술들에 대한 언급이 없다고 제리 넬슨 미주리 대학 명예교수가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이 농작물 관리의 적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트랙터나 기타 기계 및 연료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최소 10-20년이 걸릴 것이며, 그때까지 북한의 농업 생산성은 계속해서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북한이 최근 채소 재배를 확대하기 위해 대규모 온실 농장을 건설하고 2026년가지 농업연구원을 첨단기지화 하겠다고 적극 홍보하고 있지만 역시 전망은 밝지 않습니다.
권태진 원장은 북한의 대규모 온실 농장은 일반 비닐 온실이고, 개건하고 있는 농업과학원 역시 건물과 시설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이지 연구 장비나 농업과학자를 위한 인적 개발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 지도자들은 첨단 농업을 강조하지만, 이는 말에 그칠 뿐”이라면서 뒤떨어진 기술과 잘못된 정책 방향을 지적했습니다.
한편 북한경제 전문가인 마커스 놀랜드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PIIE) 부소장은 북한 당국이 식량난 타개를 위해 농업과학적 발전을 강조하며, 의도적으로 농부들에게 돌아갈 물질적인 보상, 즉 장려혜택의 역할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정책의 변화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놀랜드 부소장: (북한의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먼저 농부들 스스로가 자신이 생산하는 작물이나 그 방법에 대한 통제력을 더 갖게하고, 그들의 생산량에 대해 더 보상을 보장하는 등 분산화된 체계의 발전을 장려해야합니다. 그런 다음에, 북한 당국이 말하는 '첨단 과학 농업 기술'이라고 부르는 문제들을 다룰 수 있겠죠.
놀랜드 부소장은 이어 북한은 기후적으로 쌀, 밀, 옥수수와 같은 대량 곡물을 재배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지역이기 때문에 국내 생산에 의존하는 대신 외국으로부터 수입을 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자민 앤더슨, 에디터 박정우,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