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11/22/22 16:30 EST
앵커: 북미 대륙의 대공방어 임무를 맡은 북미방공사령부(NORAD)는 새롭게 부상하는 군사적 위협에 대응해 조기감지 레이더 등 감시체계를 현대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고도화되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미방공사령부(North American Aerospace Defense Command, NORAD)는 1958년 미국과 캐나다가 손잡고 창설한 항공 우주 공동방위조직으로, 북미 대륙 상공의 감시와 관리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당시 구소련의 공격으로부터 북미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창설됐는데 최근에는 러시아와 중국은 물론 북한의 미사일이나 다른 위협을 주시하며 대응해왔습니다.
미 국방부는 지난 20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애니타 애넌드 캐나다 국방장관이 지난 19일 캐나다에서 열린 한 국제안보토론회 참석을 계기로 만나 북미방공사령부를 현대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국방부는 21일 이 북미방공사령부 현대화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겨냥한 것이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특정한 하나의 위협을 구체적으로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The need for NORAD modernization is not specific to a singular threat)
그러면서 캐나다와 북미에 대한 새롭게 부상하는 군사적 위협으로부터 캐나다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북미방공사령부와 캐나다 군대의 역량을 지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ut rather the need to support NORAD and the Canadian Armed Forces' ability to protect Canadians against new and emerging military threats to Canada and North America more broadly)
이를 통해 독재정권들(autocratic regimes)들이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위협하는 이 때 나토(NATO), 즉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서쪽 면을 강화하면서 캐나다 군대의 해외 관여 지원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In so doing, they will also help support the Canadian Armed Forces' engagement abroad, while reinforcing NATO's Western flank at a time when autocratic regimes are threatening the rules-based international order)
이와 관련해 미국 랜드연구소 군사전문가인 브루스 베넷 선임연구원은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미방공사령부 현대화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도 염두한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베넷 선임연구원: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도 (북미방공사령부) 현대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커가는 중국과 러시아의 핵 위협도 또 다른 이유입니다. 이 현대화는 중국 혹은 북한으로부터 뭔가 올 수 있는 북서쪽 방향에 집중될 것 같습니다.
캐나다 국방부는 이날 북미방공사령부의 현대화를 위해 향후 20년 간 386억 달러를 사용할 것이라면서 새로운 레이더 시설 건설, 지휘명령체계 향상, 공중급유기 및 공대공미사일 전투기 확충 등에 집중될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 가운데 장거리 순항 및 극초음속 미사일 등의 위협을 조기에 찾아내는 새로운 레이더 시설 건설 등의 감시체계 현대화에 첫번째로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지평선 넘어 수백, 수천 킬로미터의 물체를 탐지해낼 수 있는 초지평선 레이더(over-the-horizon radar)를 북극 일대(Arctic)와 북극점(Polar) 부근에 설치해 북미로 다가오는 미사일 등의 위협을 조기에 경보하는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기자 이상민,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정정합니다: 기존 앵커 문장 '북미방공사령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부상하는 위협에 대응해 조기감지 레이더 등을 현대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에서 북미방공사령부는 직접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거론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삭제,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