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최근 ICBM 발사 관련 필리핀·G7 등 국제사회 규탄 지속

0:00 / 0:00

앵커 :필리핀과 주요 7개국(G7) 등 국제사회가 성명을 통해 북한의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규탄하고 나섰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필리핀 외교부는 31일 성명을 통해 북한이 최근 감행한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을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성명에서 외교부는 "필리핀은 북한이 지난 5월 25일 실시한 가장 최근 미사일 시험을 규탄한다"며 "이는 한반도와 역내,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을 훼손한다"고 지적했습니다. (The Philippines condemns the latest missile test by the DPRK on 25 May 2022, which undermines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entire region, and the world.)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관련 결의에 따른 국제 의무를 준수할 것과 건설적이고 평화로운 대화 과정에 전념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주요 7개국 역시 지난 30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미국 국무부가 공개한 이번 공동성명에는 미국과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등 주요 7개국 외무장관들과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가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북한의 지난 5월 25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올해 초부터 실시한 수많은 탄도미사일 발사와 마찬가지로 이번 행동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것이며 국제 비확산 체제와 국제 평화 및 안보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2021년 탄도미사일 시험에 기반해 모든 범위에 걸쳐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북한의) 잇따른 전례 없는 탄도미사일 시험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또 북한의 핵 개발 활동을 언급하며 "지속적인 핵 활동에 대한 증거와 더불어 이러한 행동은 핵 능력을 진전시키고 다양화하겠다는 북한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무모한 행위는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북한의 의무를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안보리는 지난 2017년 대북 결의 2397호를 통해 북한의 의무를 재확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017년 12월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추가 대북제재 조치를 담은 결의 2397호를 채택한 바 있습니다.

성명은 이외에도 북한의 도발이 역내 국제 민간 항공과 해상 항해에도 예측할 수 없는 위험을 제기한다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면서 "주요 7개국 외무장관과 유럽연합 고위대표는 북한이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할 것과, 안보리 결의에 따른 모든 법적 의무를 충실히 이행할 것을 재차 긴급하게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이들은 최근 유엔 차원의 대북 추가제재 결의안이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로 부결된 데 대해 "유엔 안보리가 13개 회원국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최근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강화하기 위한 결의안을 채택하는 데 실패했다는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어 "모든 유엔 회원국들, 특히 안보리 회원국들이 북한의 행위를 규탄하는 데 동참해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해야 하는 북한의 의무를 재확인하도록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유엔 안보리의 일관된 입장과 주요 조치 등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또 북한을 향해 "비핵화를 위한 외교에 관여할 것과 미국과 한국, 일본의 반복되는 대화 제안에 응할 것을 재차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자원을 전용하면서 북한은 이미 대단히 심각한 자국 내 인도적 상황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며 "국제 인도주의 단체들의 접근과, 식량이나 의약품 등 인도적 필요에 대한 독립적인 평가를 위한 접근을 북한이 가능한 빨리 촉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들은 또 "모든 국가들이 모든 관련 안보리 결의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할 것과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확산 위험을 최우선으로 다룰 것을 촉구한다"며 "주요 7개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목표를 위해 관련 협력국가들과 함께 일하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유지하는 데 계속 전념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