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유엔 안보리, 북 ICBM 발사에 중대 조치 취해야”

0:00 / 0:00

앵커 :주요 7개국(G7)이 북한의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규탄하고 유엔 안보리에 추가적인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일본·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 등 주요 7개국, 즉 G7 외무장관들은 20일 성명을 내고 지난 1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습니다.

G7 외무장관들은 “이번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북한의 또 다른 노골적인 위반”이라며 “계속되는 핵 활동에 대한 증거와 함께 이 무모한 행위는 핵무기와 미사일 역량을 진전시키고 다변화하려는 북한의 의지를 강조한다”고 말했습니다. (This reckless act, together with the evidence of ongoing nuclear activities, underscores the DPRK’s determination to advance and diversify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capabilities.)

그러면서 “다수의 대륙간탄도미사일과 일본을 통과한 중거리탄도미사일 등 2022년 전례 없는 북한의 연이은 불법 탄도미사일 발사는 역내 및 국제 평화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제기하며 전세계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고 비판했습니다.

G7 외무장관들은 또 “북한의 행동이 유엔 안보리의 추가적인 중대 조치 등 국제사회의 단합되고 확고한 대응을 요구한다”며 “모든 국가들이 유엔 안보리 조치와 대북제재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위험을 긴급한 우선순위로 다룰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북한이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 다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폐기하고 모든 관련 활동을 즉시 중단하라고 요구하며 “북한은 핵무기전파방지조약(NPT)에 따른 핵보유국 지위나 다른 특별한 지위를 얻을 수 없고 앞으로도 결코 얻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G7 외무장관들은 이어 한국과 일본에 대한 연대를 표명하고, 북한에는 비핵화를 위한 의미있는 대화를 재개하고 미국과 일본, 한국의 반복되는 대화 제의에 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주민들의 필요를 충족하는 자원을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전용함으로써 자국 내 이미 심각한 인도적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실제 북한의 도발에 대한 유엔 차원의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21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안보리 회의가 17일 만에 다시 개최될 예정입니다.

지난 18일 유엔주재 미국 대표부 네이트 에반스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동맹국, 협력국과 21일 안보리 회의 개최를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이날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가 여러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으며, 안보리는 북한의 더욱 무모하고 불안정한 행동을 다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당일인 18일에는 미국과 한국, 일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6개국 정상급 인사들이 모여 북한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의 요청으로 이뤄진 이번 6자 회동에는 한덕수 한국 국무총리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참석했습니다.

백악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정상들이 이번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다수의 안보리 결의를 뻔뻔하게 위반했다는 데 동의했으며 유엔 회원국들이 모든 관련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도록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They agreed that this launch is a brazen violation of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UNSC) Resolutions and the leaders called on all UN Member States to fully implement all relevant UNSC Resolutions.)

또 “정상들은 북한의 핵실험이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에 직면할 것임을 재확인했다”며 “북한에 대화의 길이 열려 있음을 재확인하고 북한이 불필요한 도발을 중단하고 진지하고 지속적인 외교로 돌아올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