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중 휴대전화 방해전파 한층 강화

0:00 / 0:00

앵커 : 북한당국이 중국과의 접경지역에서 주민들이 중국휴대폰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중국휴대폰 방해전파를 한층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북한당국이 북-중 접경지역 주민들의 중국 손전화(휴대폰) 사용을 강력히 단속하는데도 불법 사용자가 줄어들지 않자 중국 휴대폰 방해전파 발사 시간과 대상지역을 넓히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연계를 가진 평안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북한 내에서 중국 휴대전화 전파가 점점 약해지고 있다”면서 “당국이 방해전파 대상지역을 점점 넓히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종전까지만 해도 국경도시의 시내에서만 방해전파로 통화가 불가능했었는데 요즘은 시 외곽 지역까지 방해전파가 확대되어 도심에서 수십 킬로를 벗어나야 겨우 통화가 가능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중국과의 국경에 사람이 넘어다니지 못하게 철조망을 친 것처럼 중국휴대전화를 방해하는 전파 철조망을 치고 있는 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현재는 도심에서 떨어진 농촌 지역에 가면 어렵게나마 중국 전화사용이 가능하다” 면서 “방해전파가 이런 속도로 확대된다면 머지않아 중국 휴대전화는 국경인근 지역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습니다.

한편 중국 휴대전화를 이용해 외부와 소통하고 있는 북한주민들도 혹시 도청당할 경우를 대비해서 용어사용에 극도로 조심하고 있다는 얘깁니다.

평안북도의 또 다른 주민 소식통은 “중국 휴대폰으로 통화하다 도청으로 통화내용이 그대로 녹음되는 바람에 변명 한마디 못 하고 혹독한 처벌을 받은 사람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전화통화 중에 특정 이름이나 지명 등을 거명하면 당국의 도청 녹음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녹음된다”는 얘기도 있다면서 “이런 경우를 의식해서 자기들끼리만 통하는 은어를 사용해 통화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에 주재하는 무역일꾼들도 중국 전화로 국경 지역의 지인들에 부탁해 평양 등 내부지역 사람들과 간접 통화를 해왔는데 이 같은 간접 소통마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