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 의원들 “일방적 한미군사훈련 유예 반대”

0:00 / 0:00

앵커: 이달 말 2차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북 실무협상에서 미국 측이 북핵협상 진전을 위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유예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 소속 상원의원들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없는 가운데 일방적으로 한미 연합군사 훈련을 유예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잭 리드(Jack Reed) 상원의원(민주, 로드 아일랜드)은 5일 의회에서 자유아시아방송(RFA)과 만나 북한이 아무런 비핵화 조치도 취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유예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리드 상원의원: 한국과의 중요한 안보약속인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일방적으로 유예했지만 북한의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가 없는 현실을 볼 때 한미 연합훈련 취소는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같은 민주당 소속의 태미 덕워스(Tammy Duckworth) 상원의원(일리노이)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한미 연합 군사훈련 유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군 지휘관들과 정보 당국자들의 조언을 기초로 해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공화당 소속의 의원들도 북핵협상을 위한 한미 연합 군사훈련 유예에 반대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로저 위커(Roger Wicker) 상원의원(미시시피)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핵협상을 위해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유예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위커 상원의원은 북핵 협상에 희망을 갖고 있지만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며 특히, 한미 연합 군사훈련 유예는 신중히 결정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데이비드 퍼듀(David Perdue) 상원의원(공화, 조지아) 역시 이날 자유아시아방송과 만나 정상회담 전에 한미 연합 군사훈련 유예를 협상카드, 즉 지렛대로 내놓아서는 안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리드 의원은 북한 비핵화 조치에 대한 상응조치로 거론되는 주한미군 철수에 대해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다른 조치들로 북한이 더 이상 동아시아 지역에서 위협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만 고려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