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13~23일 ‘자유의 방패’ 연합훈련...‘독수리훈련’ 부활

0:00 / 0:00

앵커 :한미 군 당국이 오는 13일부터 11일 동안 '자유의 방패' 연합훈련을 실시합니다. 남북 대화 분위기에서 중단된 독수리훈련도 5년 만에 사실상 재개됩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미 군 당국은 3일 연합방위태세 확립을 위해 오는 13일부터 23일까지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 연합훈련을 시행한다고 공동 발표했습니다.

이성준 한국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이번 연합훈련은 북한의 핵·미사일 고도화와 최근에 일어난 전쟁 및 분쟁 교훈 등 변화하는 위협과 변화된 안보 환경이 반영된 연습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맞춤형 연습을 실시해 동맹의 대응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것입니다.

11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훈련 기간에 한미는 쌍룡 연합상륙훈련과 연합특수작전훈련(Teak Knife) 등 20여 개 훈련을 집중적으로 진행해 연합야외기동훈련을 과거 시행된 ‘독수리훈련’(FE) 수준 이상으로 확대 실시합니다.

남북 화해 분위기 속에 지난 2018년을 마지막으로 중단된 전구급, 즉 한반도 전체를 범위로 삼는 실기동훈련(FTX)이 부활하는 것입니다.

한반도에 전개된 미 항공모함이 참가하는 연합항모강습단훈련, 한·미·일 미사일경보훈련도 함께 진행됩니다.

이번 훈련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시행하는 연합야외기동훈련의 명칭은 ‘전사의 방패 연합야외기동훈련’(Warrior Shield FTX)으로 명명됐습니다.

한국 전 정부에서 이뤄진 9·19 남북 군사합의 이후 연합야외기동훈련은 대대급 이하 규모로 축소됐지만, 지난해 한국 새 정부가 출범한 뒤 같은 해 하반기 ‘을지 자유의 방패’ 훈련에서 연대급 이상 기동훈련이 재개됐고 이번 훈련에선 이른바 ‘전구급’ 실기동훈련을 되살린 것입니다.

이에 대해 한미는 “한국을 방어하기 위한 연합방위태세를 확고히 하겠다는 한미 연합군의 능력과 의지를 상징하는 것”이라며 “독수리훈련 수준으로 확대된 대규모 연합야외기동훈련을 집중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연합작전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훈련 기간 중 북한 도발 가능성에 대비한 대북 감시·경계 태세도 강화됩니다.

이성준 한국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 한미 동맹은 북한군의 도발에 대비해 확고한 군사 대비태세를 유지하며 훈련을 준비하고 실시할 것입니다. 한국 군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9·19 군사합의를 위반한 북한의 도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한미 동맹의 압도적 능력으로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주한미군은 이번 훈련이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이작 테일러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실장 :임무를 수행하는 전문적인 군사단체로서 정례적인 군사훈련, 또 일반적인 군사훈련을 진행할 것이며 방어적 성격을 띤 이번 훈련은 철통같은 한미 동맹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한미 공군은 연합훈련을 앞둔 이날 미국 B-1B 전략폭격기를 한반도 상공에 전개시켜 연합공중훈련을 실시하기도 했습니다.

B-1B 전략폭격기는 지난달 19일 실시된 연합훈련에 이어 12일 만에 다시 전개된 것으로, 훈련은 한국 측 F-15K와 KF-16 전투기가 참여한 가운데 서해 및 중부내륙 상공에서 진행됐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군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해 강력하고 신뢰성 있는 확장억제를 실행한다는 미국의 의지와 능력을 보여주는 한편, 한미 공군의 연합작전수행능력 배양과 상호운용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