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 연방하원의 영 김 의원은 8월 한미연합군사훈련에 대한 결정은 양국 간 합의와 필요에 근거해야지 북한을 달래기 위한 것이 되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117대 미 의회에서 재출범한 한미의원연맹 공동의장인 영 김(공화·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은 최근 제기되고 있는 8월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축소 혹은 연기 주장에 대해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결정은 양국 간 합의와 필요에 근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Any decisions on combined training events should be a based on bilateral agreement and the needs of both countries.")
김 의원은 이날 지난 1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를 내고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요구한 것에 대해 "정기적인 한미 연합군사훈련은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한미 관계와 방어 훈련의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Regular US-ROK military exercises have been an important part of US-Korea relations and defensive training to keep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그는 이어 "한미동맹의 군사적 준비 태세는 신뢰할 수 없고 무책임한 (북한) 정권을 달래는 데 좌우되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The military readiness of our alliance should not rest on placating an unreliable and irresponsible regime.")
한편 상원 외교위 소속의 빌 해거티(공화·테네시) 의원은 지난 3일 인터넷 사회관계망인 트위터를 통해 북한이 미북회담 재개 조건으로 광물수출 허용, 정제유 수입 허용, 생필품 수입 허용 등을 요구했다는 한국 국가정보원의 보고와 관련해 대북제재 완화를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해거티 상원의원은 "미국이 대북 협상 복귀의 전제조건으로 북한에 제재완화를 제시해선 안 된다"며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이 완전히 비핵화할 때까지 제재가 유지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최대압박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The U.S. should never provide sanctions relief as a precondition for returning to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The Biden Admin should expand maximum pressure to make clear that sanctions will remain until Pyongyang completely denuclearizes.")
그는 지난달 30일에도 8월 한미연합군사훈련 시행 여부와 관련해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의 길은 한미동맹을 강화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며 강경한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아울러 미 의회에서는 북한 당국의 본질에 대해서는 회의감 섞인 목소리가 여전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난 3일 상원 외교위원회가 웬디 셔먼 미 국무부 부장관 등을 불러 진행한 청문회에서 밥 메넨데즈(민주·뉴저지) 외교위원장은 북한을 해킹 등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 미국을 위협하는 위협적인 사이버 공격 집단 중 하나로 지목했습니다.
기자 한덕인, 에디터 이상민,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