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 국무부가 최근 영문으로 공개한 '북한 불법활동 제보 포상금' 관련 안내문이 '한글'로도 공개됐습니다. 이번 포상금 제도와 관련해 탈북민들은 북한의 불법활동 관련 제보가 잇따를 것이라며 환영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미국 국무부가 운영하는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Rewards for Justice program) 인터넷 사이트에 북한 불법 활동 관련 정보 제공자에 500만 달러까지 포상금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영문으로 추가된 바 있습니다.
기존에는 영문으로만 ‘북한’(North Korea) 사안이 안내됐지만, 11일 현재 ‘언어 선택’(Select Language)에서 ‘한국말’을 선택하면, ‘북한’ 관련 사안이 한글로도 안내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글로 된 ‘자주 묻는 질문’ 항목에서는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에 대한 궁금한 점 15개가 상세히 설명돼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에 따르면,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 측은 현재까지 지급된 최고의 포상금은 3천만 달러로, 이라크 사담 후세인 전 대통령의 두 아들 ‘우다이’와 ‘쿠사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 제보자에게 지급됐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이미 언론을 통해 미군에 의해 사살된 후세인 전 대통령의 두 아들 ‘우다이’와 ‘쿠사이’의 은신처에 대한 결정적 정보를 제공한 ‘나와프 알 자이단’과 그의 가족이 미국 측으로부터 현상금 3천만 달러를 지급받고, 제3국으로 빠져나간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습니다.
특히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 측은 ‘자주 묻는 질문’ 항목을 통해 “포상금을 지급받은 개개인의 이름도 공개하지 않으며 통상 포상금이 이미 지급되었다는 사실 자체도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포상금 지급이 이루어진 후에는 의회로 기밀 보고서가 제출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 측은 “비밀유지는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의 핵심”이라며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는 정보를 제공한 사람 또는 포상금을 지급받은 사람에 관한 신원정보는 철저히 비밀로 유지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정보 제공자 본인과 그의 가족을 위한 거주지 이동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탈북민과 탈북 단체장들은 국무부의 이러한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에 대해, 북한 정권의 불법 활동을 막고, 고위급 인사의 탈북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며 환영했습니다.
강철환 ‘북한전략센터’ 대표는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무부의 보상제도가 알려진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탈북자들이 구체적으로 윤곽을 잡게 되면 북한 내부 세력과 연계해서 신고활동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강철환 대표는 “북한에서 나와 있는 공관원들도 이러한 보상제도를 알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강철환 대표 : 탈북자들 가운데 북한 내부와 연결해서 이러한 신고 활동들을 하게 되지 않을까 합니다. 해외에 나와 있는 많은 공관원들도 신변안전이 보장되기 때문에 정보들을 제공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실질적으로 미국 정부에서 하는 신뢰있는 보상제도이기 때문에, 북한에서 나와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런 정보를 접했을 것입니다. 아마 빠른 시일 내에 불법활동에 대한 신고나, 외부 세력과 손잡고 보상을 받으려는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요덕수용소 출신 탈북자 정광일 ‘노체인’ 대표도 1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무부의 보상금 제도를 USB, 즉 이동식 기억장치에 넣어서 북한에 유입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광일 대표 : 북한과 무역을 하는 중국에 있는 지인들에게 이 보상제도 웹사이트에 대해 알려줬습니다. 우리가 여러가지 미디어 컨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를 USB에 넣어서 북한에 보내려고 합니다.
영국의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도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 내부에서 이러한 보상 제도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관건”이라며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을 포함해 대사관 내부 직원들도 이미 이러한 보상제도를 알고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주일 사무총장 : 예를 들어, 배의 선장이나 기관장들이 의기투합을 해서 북한 탈출을 전제로 한 목적이라면, 그 배가 미국으로 향할 수도 있고, 공해 상에서 미국 측에 불법환적에 대해 알려줄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관건은 선장이나 기관장 등 북한 주민들이 이러한 보상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지 여부라고 봅니다.
익명을 요구한 사이버보안 전문가들도 같은날 자유아시아방송에 이번 국무부의 ‘정의에 대한 보상제도’에서 ‘멀웨어’와 ‘랜섬웨어’를 배포하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행위도 포함된 사실에 대해 주목했습니다.
이와 관련 한 사이버보안 전문가는 “한국 국정원에서도 북한의 사이버 공격 신고 보상제도가 있지만, 보상금이 그리 많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국무부가 실제 북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신고 사례와 포상금액을 공개한다면, 북한의 사이버 공격사례 신고가 잇따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무부는 현재까지 북한의 불법행위에 대한 신고 사례가 있는지 등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의에 11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