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방중 사실이면 2차 미북 정상회담 조율용”

0:00 / 0:00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할 것이란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사실이라면 2차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과 회담 전략을 조율하고 중국의 협력을 얻기 위한 방중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연합뉴스와 조선일보 등 주요 언론매체들은 대북 소식통을 통해 북한 고위급 인사가 탔을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열차가 북중 접경 지역을 통과했다고 밝혔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이 열차는 7일 오후 10시경 단둥 기차역을 통과했고 해당 열차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탔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 매체들은 이어 김 위원장이 8일 시진핑 중국 주석을 만나 4번째로 북중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7일 김정은 위원장의 4차 방중 가능성에 대한 자유아시아방송(RFA) 논평요청에 언론과의 소통은 신변안전이나 재산보호, 국가안보에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사건과 쟁점에만 제한된다고 밝히며 답변을 피했습니다.

(Due to the lapse in appropriations, the Press Office will be operating on a reduced status. Communications with the media will be limited to events and issues involving the safety of human life or the protection of property, or those determined to be essential to national security.‎ We will endeavor to be responsive to your query under those guidelines.)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4차 중국 방문이 사실이라면 곧 열릴 2차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과 중국 간의 입장을 사전에 조율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2차 미북 정상회담 전에 김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회담에 대한 양국의 입장을 조율하는 것은 매우 정상적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은 북한과 중국은 한미안보동맹을 약하게 하고 최종적으로 이를 제거하는 데 강한 관심을 갖고 있다며 이에 대한 입장을 조율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세이모어 전 조정관: 김정은 위원장은 비핵화 대가로 평화체제를 요구하며 결국 한미동맹 제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방문에서 이 입장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확보하려고 할 것입니다.

켄 고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 선임연구원도 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김정은 위원장의 올해 신년사를 보면 상호주의 원칙에 기초한 평화체제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김 위원장은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에만 집중하려는 미국 측이 정전협정을 평화체제로 전환하는 데 관심을 갖길 촉구할 것이라며 이에 대한 중국의 이해와 지지를 얻기 위해 중국을 방문했을 것이라고 고스 연구원은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