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트 캠벨, 바이든 대북정책 ‘키맨’ 지명

0:00 / 0:00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북핵 문제 등 아시아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전략과 정책을 주도하는 백악관 고위직에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지명했습니다. 지에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13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Coordinator for the Indo-Pacific)에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지명했습니다.

바이든 인수위원회는 홈페이지에 공개한 백악관 인사(White House Personnel) 명단의 국가안보회의 소속에 이같이 그의 이름을 올렸습니다.

백악관 인도∙태평양조정관은 이번에 신설된 직책으로 향후 바이든 행정부에서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정책 등 아시아 지역에 대한 미국의 전략과 정책을 주도하게 됩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과거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를 지냈고,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는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를 역임한 바 있어 북핵 문제를 비롯한 한반도 문제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오바마 행정부 당시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외교중심축을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아시아 회귀 정책'(Pivot to Asia)을 설계한 핵심 인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전략·경제 자문회사인 '아시아 그룹'의 공동설립자로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미국 워싱턴DC 소재 주요 연구기관 중 하나인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공동설립자이기도 합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향후 백악관 인도∙태평양조정관으로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직접 보고하게 될 것이라고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13일 복수의 바이든 인수위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습니다.

특히 북한과 관련해 그는 지난해 12월 미국의 민간 연구기관 애틀란틱카운슬이 주최한 화상 회의에서 차기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문제를 우선순위에 포함시키고 신속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에 관해 빠른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오바마 전 행정부가 이러한 결정에 시간을 끄는 동안 북한이 도발했고, 북한과의 관여 가능성을 잃었습니다.

아울러 그는 지난해 3월 미국 허드슨연구소 간담회에서는 북한의 핵 포기 의지에 회의적인 입장을 내보이기도 했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 저는 북한이 본질적으로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북 정상이 마주 앉아 회담할 기회를 만든 것은 큰 성과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북한이 핵능력 뿐만 아니라 남북 군사분계선 인근에만 수만 명의 포병 부대를 확보하고 있어 주한미군에게도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캠벨 전 차관보는 지난 12일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이스' 기고문(How America Can Shore Up Asian Order)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주한미군 방위분담금 인상 행보가 균형이 유지돼야 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동맹을 약화시켰다고 지적했습니다.

캠벨 전 차관보는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인터뷰 요청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편, 앞서 바이든 인수위원회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 제이크 설리번 전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 국무장관에 토니 블링컨 전 국무부 부장관, 국방장관에 로이드 오스틴 전 미 중부사령관, 국방부 부장관에는 캐슬린 힉스 전 국방부 정책담당 수석부차관을 공식 지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