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는 최근 경북 하나센터에서 해킹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탈북자 997명 중 650명에게 관련 사실을 통지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 보도합니다.
한국 통일부가 최근 탈북자 지역정착 지원기관인 경북 하나센터의 탈북자 정보유출 사건과 관련해 후속 조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2일 기자설명회에서 지난달 27일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된 탈북자 997명에게 통지를 시작했다며 지난 1일까지 총 650명에게 전화로 알렸고 이 중 560여 명에게는 서면으로도 상황을 통지했다고 밝혔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아직 연락이 안 된 분들께 계속 연락을 시도하고 있고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통일부는 또 개인정보가 유출된 탈북자 중 일부는 북한에 있는 가족을 걱정하는 민원도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개인정보가 유출된 탈북자들의 민원 30여 건을 전날까지 접수했다며 이 중 개명과 주소 이전 등 개인정보 변경을 요청하거나 관련 정보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탈북자 개인정보 보호 강화와 피해 방지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 내 북한인권단체들은 만약 이번 탈북자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북한 당국의 소행으로 밝혀질 경우 탈북자 가족과 친척, 탈북을 도운 사람들까지 신변에 위협을 느낄 수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조경희 물망초 부장 : 친분 관계가 있는 우리 민간단체들과 접촉할 때도 탈북민들은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될까봐 불안해 하거든요. 그런데 민간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부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일어나니까 더 불안해 하는거죠.
이에 대해 통일부는 관계기관과 함께 탈북자들이 안정적으로 생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민원사항과 관련한 지원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나센터에 대한 관리·감독을 보다 철저히 하고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한 법·제도적 보완도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경북 하나센터에서는 지난해 11월 개인용 컴퓨터 1대가 악성코드에 감염돼 지역에 거주하는 탈북자 997명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정보가 담긴 자료가 유출됐습니다.
다만 탈북자들의 손전화 번호와 주민등록번호 같은 개인식별정보는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