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군 당국이 오는 1일부터 대북심리전 수단인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합니다. 남북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판문점선언'의 후속조치 차원인데요. 한국 정부는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민간단체들에도 전단 살포를 자제하라고 요청할 예정입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방부가 남북 군사분계선 일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시설을 오는 1일부터 철거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30일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판문점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습니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 : (남북 간) 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초보적 단계입니다. 이와 관련해 가장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서 먼저 시작하게 됐습니다. 이 부분은 판문점선언에 명시돼 있습니다.
한국 군 당국의 대북 확성기 시설 철거는 지난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합의한 ‘판문점선언’에 따른 후속 조치입니다. 남북 정상은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긴장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를 비롯한 적대행위를 중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도 이 부분에 대해 합의했기 때문에 조만간 대남 확성기 방송 시설을 철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민간단체들에도 전단 살포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입니다. 다만 민간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 영역에 속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강제하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대북전단 단체들은 전단 살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남북 간 표준 시각을 통일하자는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의 구두합의 사항도 조만간 이행될 예정입니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30일 ‘정령’을 통해 현재 북한의 표준시인 ‘평양 시간’을 한국의 표준시와 맞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조치는 5일부터 적용됩니다.
앞서 한국의 청와대는 지난 29일 남북 정상 간 구두합의 내용을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이 구두합의에는 남북 간 표준시를 통일하는 문제 외에도 북한이 핵시설을 폐쇄하는 과정을 대외에 투명하게 공개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습니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부 핵실험장을 5월 중에 폐쇄할 것”이라며 이를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의 전문가와 언론인을 북한으로 초청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김 위원장은 “못 쓰게 된 핵시설을 폐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있는데 우리에겐 기존 시설보다 더 큰 두개의 갱도가 있고 이는 아주 건재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이 환영의 입장을 표명했다고 청와대 측은 설명했습니다.
청와대는 앞으로 전쟁은 없을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발언도 소개했습니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6.25(한국) 전쟁의 아픈 역사는 되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결코 무력 사용은 없을 것임을 확언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미국과의 상호불가침 조약만 맺으면 핵을 가질 이유가 없다는 발언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