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군사부문 공개활동이 지난 석 달 동안 눈에 띄게 증가했다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남북을 '교전국 관계'로 전환한 것과 연결되는 행보라는 설명입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책연구기관 통일연구원의 김갑식 선임연구위원, 장철운 연구위원이 6일 ‘북한 최고지도부의 공개활동 분석’을 주제로 내놓은 보고서.
이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석 달 동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보인 공개활동을 비교해 특히 군사부문 활동이 지난 3개년에 비해 늘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이번 겨울, 지난해 12월과 지난 1~2월에 포착된 김 총비서의 공개활동은 모두 31건으로, 그 이전 세 번의 겨울 동안 이뤄진 평균 공개활동 횟수인 23.7건보다 31%정도 늘었습니다.
특히 군사분야 활동은 11건으로 지난 3년 동안의 평균 3.7회와 비교하면 세 배에 달했습니다.
연구진은 지난 1~2월 두 달 동안 군사분야 공개활동이 8건 집중됐다며 “김 총비서가 지난해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 교전국 관계’라고 주장한 대목과 연결되는 행보”라고 진단했습니다.
경제분야 공개활동도 증가했습니다.
이번 겨울 김 총비서가 보인 경제분야 공개활동은 5건으로, 지난 3년 동안 평균 두 차례씩에 그친 것보다 증가했는데 이는 ‘지방발전 20X10 정책’을 강조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코로나 종식의 영향으로 김 총비서뿐 아니라 김덕훈 내각총리를 비롯한 노동당 정치국 상무위원들의 공개활동 빈도까지 전반적으로 크게 증가했다는 분석도 함께 제기됐습니다.
통일연구원은 북한이 기존 정치범관리소 외에 핵시설로 정치범을 보내 피폭 위험이 큰 노역을 시킨다는 탈북민의 증언도 공개했습니다.
이는 지난 4일 발간된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북한 주민의 가정생활’에 실린 탈북민 14명에 대한 지난해 심층면접 기록 가운데 하나로, 지난 2019년 탈북한 평양 출신의 40대 여성은 북한 당국이 정치범을 군이 관리하는 ‘핵기지’에 보내 강제로 노역시키고 있다고 증언했습니다.
남편이 먼저 북한을 탈출해 북한 당국의 감시에 시달리다 딸과 함께 핵기지 내 관리소에 보내질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탈북을 결심했다는 것입니다.
이 여성은 방사선 피폭 우려로 일반인들은 누구나 핵기지에 가는 것을 꺼리는 상황이라고 진술했습니다.
박영자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북한 내에서 핵시설에 대한 위험성을 주민들도 인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분이 북한 내에선 중산층이었던 만큼 소수의 일이 아니라 정치범 수용소 수감 대상자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삶의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앞서 북한인권단체들은 위성사진 등을 근거로 정치범 등 수감자들이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에서 강제노역에 동원되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해온 바 있습니다.
연구진은 다만 해당 진술만으로는 핵시설 내 강제노역이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며, 다른 탈북민의 증언이나 정보를 통해 교차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핵단지 일대 정치범관리소나 강제노역에 관해 현재까지 확인된 정보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에디터 이현주,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