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IS “북 회중리에 미 타격 가능한 ICBM 배치될 것”

0:00 / 0:00

앵커 :북중 접경지역에 위치한 미사일 기지에 미국까지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배치될 것이라는 분석이 재차 제기됐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조지프 버뮤데즈 연구원은 지난달 29일 연구소가 인터넷 동영상 공유사이트인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영상에서, 북한 자강도 화평군의 회중리 미사일 운용기지에 미국까지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버뮤데즈 연구원:우리가 이야기를 나눠 본 정보 소식통에 따르면 이 기지에 미국까지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 부대가 배치될 것입니다. (According to informed sources that we've spoken with, this will house an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unit, ICBM which could reach as far as the United States.)

이 연구소의 빅터 차 한국석좌와 버뮤데즈 연구원은 지난 2월 인공위성 사진 분석을 바탕으로 한 보고서에서, 중국 국경과 불과 25km 떨어진 회중리 기지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장비를 갖춘 연대급 부대를 수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차 석좌는 이번 영상에서 "선제공격을 받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던 미국을 북한이 실제 타격할 수 있는 기지를 갖추고 있다는 사실은 북한과 중국에 모두 이익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이 접경 지역에 위치한 이 기지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면서도 "우리가 알 수 있는 건 중국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 어떠한 우려도 제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올해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시험발사는 미국에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 역량을 보유하려는 북한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차 석좌는 하지만 미국이 이 기지를 선제 타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빅터 차 한국석좌:이 기지가 중국과 접경 지역에 위치해 있어 중국의 안보 자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이나 다른 국가들이 선제 조치를 고려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Its location on the border with China would make it difficult for the United States or any other country to consider preemptive actions against that base as it might involve the security equities of China.)

차 석좌는 그러면서 향후 이 기지 문제가 미국과 북한 간 비핵화 협상 의제에 포함돼야 한다며 회중리 기지 개발은 "미국과 일본, 한국 등 동맹국 간 미사일 방어 협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버뮤데즈 연구원은 북한이 계속 회중리 기지를 개발,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회중리 기지 내 드라이브 스루, 즉 자동차 이동 방식 형태의 미사일 점검 시설 등이 개발됐다며, 가장 최근 위성사진을 보면 이 기지가 기반시설 면에서는 기본적으로 완공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아직 이 기지에 대륙간탄도미사일 부대는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월 보고서 역시 이 부대가 배치됐다는 징후는 없다며, 이는 기지가 완공되지 않았거나 작전에 투입될 대륙간탄도미사일 제조가 마무리 되지 않았을 가능성, 훈련된 요원이 부족할 가능성 등을 제기했습니다.

보고서는 당시 이 기지에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단기간 내 배치하지 못할 경우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이 배치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한편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북한 전문 매체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는 2일 북한 함경북도 신포조선소를 분석한 보고서에서, 북한이 결정만 하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을 하거나 진정한 첫 탄도미사일잠수함(SSB)을 진수할 수 있는 능력과 자원을 갖췄다고 평가했습니다.

신포조선소 주변 위성사진을 분석한 이번 보고서는 다만 이와 관련된 주요 활동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