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윤석열 한국 대통령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한 북한의 도발에 대해 분명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면서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윤석열 한국 대통령의 16일 일본 방문을 앞두고 동해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자 한국 대통령실이 이를 강력하게 규탄했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의를 개최하고 북한의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명백한 위반임을 강조했습니다. NSC 상임위원들은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역내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도발이며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도 이날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NSC 상임위원회에 참석해 현재 진행 중인 ‘자유의 방패’(FS) 연습과 계획된 공중 강습 및 항모 강습단 훈련 등을 철저히 수행할 것을 지시하며 북한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은 무모한 도발에 대한 분명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며 “한미일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일본 도쿄에 도착한 이후에도 화상회의를 통해 안보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도 윤 대통령의 일본 방문 직전 도발을 감행한 북한을 규탄했습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 :우리 정부는 오늘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일본 방문 직전에 일본을 향해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을 강력히 규탄합니다. 오늘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최근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발사는 다수의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입니다. 또한 역내 긴장을 심각하게 고조시키는 중대한 도발입니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들도 북한의 ICBM 도발과 관련해 유선협의를 갖고 대응방향을 논의했습니다.
김건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북핵수석대표는 최근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는 다수의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임을 지적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의 일본 방문 전 북한이 동해상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역내 긴장을 심각하게 고조시키는 중대 도발로 규정했습니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들은 3국의 안보협력을 강화하여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에 대한 압도적인 대응 능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해 나가기로 의견을 나눴습니다.
김승겸 한국 합동참모본부 의장과 폴 라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은 공조회의를 통해 상황을 긴밀히 공유하고 북한의 어떠한 위협과 도발에도 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굳건히 할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김 의장은 한미 연합연습을 시행 중인 연합지상군구성군사령부를 방문해 연습 상황을 점검하며 “북한의 대남 적화통일 의지와 전략은 아직도 불변하며 당장 전쟁이 발발하더라도 우리가 계획한 대로 싸워 적의 전쟁 수행 의지를 말살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한 한국 여야 정치권의 비판도 이어졌습니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시도 때도 없이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 김정은 정권에 대항하여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일본과 안보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며 “동해를 북한의 어떤 무력 도발로도 뚫을 수 없는 강철과 같은 바다로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황명선 더불어민주당 대변인도 “한반도의 긴장을 높이고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의 군사 도발을 규탄하며 이를 즉각 멈출 것을 재차 촉구한다”며 “북한에 대한 단호한 경고와 함께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앉히기 위한 외교적 노력이 더욱 시급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한국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16일 오전 7시 10분경부터 평양 순안일대에서 동해상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습니다. 발사된 북한의 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약 1000km를 비행한 후 동해상으로 떨어졌습니다.
앞서 북한은 열병식을 통해 고체연료 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공개한 바 있어 한미 정보당국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개발과 관련한 동향을 고려해 종합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자 목용재,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