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들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를 규탄하고, 북한 문제에 무대응으로 일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유감을 드러냈습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G7은 19일 외교장관 성명을 발표하고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이날 미국 국무부 등에 따르면 G7 국가인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외교장관들과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이같은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성명에서 “북한의 반복적이고 노골적인 안보리 결의 위반과 대조적으로, 안보리는 일부 이사국의 방해로 아무런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는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We deeply regret to see the stark contrast between the frequency of North Korea’s repeated blatant violations of UNSCRs and the UN Security Council’s (UNSC) corresponding inaction because of some members’ obstruction.)
성명은 구체적인 이사국의 이름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북한에 대한 추가 조치를 반대해 온 중국과 러시아에 유감을 표한 것입니다.
중국과 러시아는 지난해 안보리에서 추가 대북제재 결의와 의장 성명 채택 등을 저지한 바 있습니다.
G7 외교장관들은 “북한의 무모한 행동은 안보리의 중대 조치 등 국제사회의 신속하고 단합된 대응을 요구한다”며 “유엔 회원국들이 모든 안보리 결의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안보리 회원국들이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G7 외교장관들은 “역내·국제 평화와 안보를 훼손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며 북한에 도발 자제를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해부터 북한이 기록적인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무기 사용에 대한 무책임하고 안정을 위협하는 언사를 지속하면서 긴장고조 행위를 심화해왔다”며 “올해 초 북한은 불법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강화할 의도를 공개적으로 밝혔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북한이 핵무기와 기존 핵 프로그램, 그 외 대량살상무기(WMD)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포기하고 관련 안보리 결의에 따른 모든 의무를 완전히 준수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에 따라 핵무기 보유국 지위를 절대 얻을 수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며 “우리는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의미 있는 외교에 관여하고 일본과 미국, 한국이 제시하는 거듭된 대화 제의를 수용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G7은 북한의 심각한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 여전히 우려하고 있으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라는 목표를 위해 모든 관련 협력국들과 협력하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지키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유럽연합 역시 17일 성명을 통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고 국제사회가 이에 대응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유럽연합은 “국제사회가 국제 비확산 체제를 유지하고 북한이 역내 군사적 긴장을 더 고조시키지 못하도록 단합되고 확고한 방식으로 대응하도록 촉구한다”며 “모든 유엔 회원국, 특히 안보리 회원국이 유엔 제재를 완전히 이행하고 북한이 주요 당사국과 대화를 재개하도록 촉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불법 무기 프로그램에 자원을 사용하면서 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상황은 더 악화됐다”고 비판했습니다.
한편 앞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싱가포르, 독일 외무부 등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한 바 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박정우,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