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의 발사체 발사와 관련해 이를 단거리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여전히 북한과 비핵화 협상에 대한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5일 미국의 주요 방송매체에 잇따라 출연해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는 이날 미국 폭스뉴스 선데이와 인터뷰에서 이번 발사체는 중, 장거리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아닌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우리는 (발사체가) 중, 장거리 미사일이나 대륙간 탄도미사일이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관련 자료를 평가할 것입니다. (We have high confidence that they were not intermediate range missiles, that they were not long range missiles or intercontinental missiles. We are continuing to evaluate that data set.)
폼페이오 장관은 그러면서 “여전히 북한이 비핵화할 수 있는 좋은 해결책으로 북한과 협상할 의도가 있다”면서 “나는 하노이 (2차 미북정상) 회담 이후 북한과 이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 손을 내밀었고 앞으로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평화적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고 싶다”고 덧붙였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같은 날 미국 ABC 방송에서도 이번 발사체에 대해 “북한 외로 발사되지 않아 미국, 한국, 일본에 위협이 되지 않았다”면서 “(미국) 국방부에서 발사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주겠지만 대륙간탄도미사일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과 여전히 검증된 비핵화에 대한 협상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시 협상장으로 돌아가 북한과 대화를 이어가고 싶다면서 지난해보다 상황이 크게 나아졌고 관계가 계속해서 진전되길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북한에 억류됐다 미국으로 송환됐지만 결국 사망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모친 신디 웜비어가 최근 진실을 말하지 않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어떻게 외교를 할 수 있냐고 비판한 데 대한 해명도 내놨습니다.
폼페이오 장관 : 유엔 대북제재는 여전히 이행되고 있고 우리는 여기에 엄청난 힘을 쏟고 있습니다. 우리는 무력 사용없이 (북한) 핵무기를 폐기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모든 외교적 기회들을 시도하고 그 목표를 향해 계속해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The U.N. sanctions are continued to be enforce, we're expending a lot of energy to do that. We think it's simply important that we play out every diplomatic opportunity, every opportunity we have to have these nuclear weapons depart and verify that without the use of force, we think every effort ought to be made in that and we continue to work towards that.)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미국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는 북한의 발사체 발사가 북러 정상회담 직후 일어난 점을 주목했습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대화를 하자마자 한 이러한 행동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평가 중이라면서도 여전히 비핵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와 관련해 미국 미들버리연구소의 제프리 루이스 연구원은 5일 미국 CNN 방송에 출연해 “발사위치와 배기가스의 두껍고 연기 자욱한 모습, 로켓 발사 흔적이 하나밖에 없다는 점은 이것이 북한이 선전물에서 보여준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것을 시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CNN방송은 또 미국 정부 관계자가 이번 발사와 관련해 “다연장로켓시스템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