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킨 모이(Kin Moy)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부차관보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전 세계적인 위협이라고 규탄했습니다. 하지만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있다는 점도 재차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연구기관 애틀란틱카운슬과 한국국제류재단이 28일 공동으로 개최한 온라인 화상회의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선 모이 수석부차관보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가 바이든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외교를 통한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모이 부차관보는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에 먼저 대화를 제의했고, 전제 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한이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한 논의를 위해 협상장에 돌아오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모이 부차관보는 그러나 최근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심각한 위협으로서 명백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모이 부차관보: 우리는 미국이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우려하고, 규탄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이러한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북한의 이웃국가들은 물론 국제사회에 위협이 됩니다. (We should be clear, the United States is concerned by and condemns the DPRK his recent ballistic missile launches. These launches are in violation of multipl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pose a threat to the DPRK his neighbors and other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모이 부차관보는 북한의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이 국제 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으로 세계 비확산 체제를 약화시킨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미국을 비롯해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이행할 책임과 의무를 다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모이 부차관보는 북한 인권 및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미국 정부의 지지 의사도 밝혔습니다.
그는 인권을 중심으로 하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북한 주민들의 인권을 옹호하며, 인도적 분야에 관해 북한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비핵화 관련 진전과 별개로 취약한 북한 주민들을 위해 접근 및 감시에 대한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란 설명입니다.
이밖에 한국전쟁 실종 미군유해 발굴 작업이 재개되길 희망한다며, 미북 간 의미있는 신뢰 구축 방안을 모색할 의사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한미동맹을 주제로 이어진 전문가 토론에 참석한 마크 램버트(Mark Lambert) 국무부 한일담당 부차관보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긴밀한 소통과 협의를 강조했습니다.
램버트 부차관보: 북핵문제는 해결하기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은 서로간 신뢰할 있는 관계와 소통으로부터 시작합니다. (This is not an easy question to address. But it starts with having a relationship with trust and reliable communications with each other.)
램버트 부차관보는 지난주 유엔총회 기간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과 회담했고, 최근 회동했던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한국의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28일 북한 미사일 발사 이후 곧바로 유선협의를 갖는 등 한미 양국이 북한 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여(engagement)'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