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동해상으로 '화성 17형'으로 추정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18일 오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이날 오전 10시 15분쯤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북한이 쏜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1000km, 고도는 약 6100km, 속도는 약 마하 22(음속 22배)로 탐지됐습니다.
이날 북한의 미사일은 지난 3일 2단 분리 이후 정상 비행에 실패했던 화성 17형과 같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북한의 미사일이 11시 23분쯤 홋카이도 오시마섬 서쪽 약 200km 지점,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 안에 떨어졌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미사일 비행시간은 68분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군과 정보 당국은 이날 화성 17형 발사가 최종 성공했는지 여부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다만 군이 탐지한 비행거리, 최고고도, 비행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사거리가 1만 5000km에 이르러 미국 본토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는 일부 평가가 나옵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이날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찾아 관련 상황을 보고 받았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한미 간 합의한 대북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 방안을 적극 이행하고 한미일 안보 협력을 강화하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 및 국제사회와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응을 포함한 강력한 대북 규탄과 제재를 추진할 것을 지시했습니다.
정부는 또 성명을 통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며 “북한의 도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고 책임을 추궁하기 위해 유엔 및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어떠한 도발도 즉각 응징할 수 있는 압도적인 대응 능력을 갖고 있다”며 “북한은 오판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정부 들어 정부성명 발표는 지난 5월 25일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입니다.
이재명 한국 윤석열 대통령실 부대변인 :북한의 도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긴밀한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에 대한 책임을 추궁하기 위해 유엔 및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다.
김건 한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ㆍ대양주국장 등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는 이날 유선협의를 갖고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에 대해 유엔 안보리가 단합해 분명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는 또 “북한의 도발은 한미동맹의 대북 억지력과 한미일 안보협력의 강화로 이어질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태국 방콕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한덕수 국무총리는 “북한의 이번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는 전세계 평화에 대한 위협”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한 총리는 또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등 6개국 정상급 인사들과 긴급 회동을 갖고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한미 양국의 군사적 대응도 진행됐습니다.
합참은 F-35A 스텔스 전투기를 동원해 북한 이동식발사대(TEL) 모의표적을 정밀유도폭탄(GBU-12)으로 타격하는 훈련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군이 F-35A를 동원한 이동식발사대 타격훈련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합참은 또 한국 공군 F-35A 4대와 미국 공군 F-16 4대가 동해 상공에서 한미연합 공격편대군 비행을 펼쳤다며 “동맹의 압도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한도형,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