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미일 안보실장은 3자회의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을 규탄하며 3국 간 공조를 강화할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현지시간으로 1일 미국 하와이에서 회동한 한미일 안보실장.
미 백악관이 1일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김성한 한국 국가안보실장,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은 회의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과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을 규탄했습니다.
설리번 보좌관은 한일 양국에 대한 확장억제 약속 등 철통같은 동맹 공약을 재확인하고 한미일 시민, 지역 그리고 세계의 안보와 번영을 위한 양자관계와 3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미일 안보실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규탄하고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공동의 약속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또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에 대한 한미일 3국의 공통된 비전을 바탕으로 유대를 강화할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한국의 연합뉴스는 김성한 한국 국가안보실장이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지금까지와는 대응이 확실하게 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김 실장은 북한이 여섯 차례의 핵실험을 했는데 한 차례 더 핵실험을 한 것에 불과하다는 식의 안이한 생각이나 대응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는 데 한미일 안보실장이 의견을 함께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조치에 따라 과감한 정치·군사·경제적 상응 조처를 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담대한 구상’과 관련 미국과 일본이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며 북한이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더해 한미 양국은 이달 중순 열릴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에서 구체적인 확장억제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기로 하고 필요하다면 한미일 3자간에 확장억제를 논의할 기회도 모색하기로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 대통령실은 2일 보도자료를 통해 한미일 안보실장이 북핵문제, 첨단기술과 공급망 협력, 주요 지역과 국제적 문제에 관해 폭넓게 협의하고 한반도와 역내 평화 안정에 기여하기 위한 3국 간 공조를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르면 김성한 실장은 지난 31일 한미 양자 안보실장 회담에서 북한문제 관련 한국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관해 설명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한미 간 협력 방안에 관해 협의했습니다.
김 실장은 같은 날 한일 양자 안보실장 회의에서도 담대한 구상에 관해 설명하고 일본의 협조를 당부하는 한편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양국 간 공조 방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미일 북핵수석대표가 오는 7일 일본 도쿄에서 만나 북한 비핵화 문제에 대한 협의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