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북한의 핵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북핵 폐기를 통한 비핵화가 최종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때문에 대북제재를 완화할 계획이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서울에서 김은지 기자가 보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7일 여야 대표들을 초청한 자리에서 특사단의 방북 결과를 설명하며 현 국면을 한반도 비핵화에 있어 중대한 고비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과의 협상이 이제 시작단계인 만큼 아직은 결과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그러나 이제 시작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낙관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라고 봅니다.
이는 비록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대화 의지를 표명하며 미북대화가 재개될 단초가 마련되긴 했지만 실제 북한의 핵 폐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북한은 과거에도 핵동결 등을 조건으로 보상을 요구하는 합의를 체결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를 파기한 전례가 있습니다. 1994년 미북 제네바 합의와 2005년 9·19 공동성명이 대표적입니다.
문 대통령이 이날 회동에서 “북한의 핵확산 방지나 핵 동결로는 만족할 수 없고 비핵화가 최종목표”라고 강조한 것도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문 대통령은 4월 말로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대북제재를 완화할 계획이 없다는 뜻도 분명히 했습니다. 대화만으로 북한에 ‘선물’을 주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미국과 긴밀히 공조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청와대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8일 미국을 방문해 방북 결과를 공유하고 후속조치를 조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2박 4일간의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김정은 위원장과의 구체적인 대화 내용을 전하면서 미북대화를 촉구할 예정입니다.
정 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서 원장은 마이크 폼페이오 미 중앙정보국 국장 등과도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미국에 이어 중국과 일본, 러시아와도 방북 결과를 공유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끌어낸다는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