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정상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한국 대통령은 미 하원 지도부와 만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한미 양국의 공조를 강조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하루 전인 20일 워싱턴 DC에 있는 연방 의회에서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 등 하원의원들과 간담회를 가졌습니다.
간담회에 앞서 열린 사진촬영 및 기자회견에서 펠로시 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한미관계가 안보 뿐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돈독해지고 있다며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거론했습니다.
그는 "미국 내 한인들과 2만 8천명의 주한미군, 그 동안 한국에서 복무한 미국인 수십만명이 한미관계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며, "한미 양국이 한반도 비핵화 뿐 아니라 기후변화, 코로나 19(코로나비루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함께 협력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 역시 한미 간 대화가 한반도 평화 등 다양한 부분에서 양국 간 협력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화답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오늘 의원님들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될 한미 간의 대화가 한반도 평화는 물론 코로나 극복과 경제 회복, 기후변화 대응에 이르기까지 양국 협력을 더욱 깊게 하고, 전 세계의 연대를 이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이어 비공개로 진행된 문 대통령과 미 하원 지도부 간 간담회에는 스테니 호이어 민주당 하원 원내대표, 스티브 스컬리스 공화당 하원 원내총무, 그레고리 믹스 하원 외교위원장, 아담 쉬프 하원 정보위원장, 스콧 페리, 앤디 김, 메릴린 스트릭랜드, 영 김, 미셸 박 스틸 의원이 함께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대북정책과 관련해 한미 양국이 함께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실현해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바이든 행정부의 성공적인 대북정책을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문 대통령은 또 미북 대화가 신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대북 관련 노력의 필요성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영 김 의원은 이날 간담회에 앞서 미국 매체 '워싱턴이그재미너'(Washington Examiner)에 기고한 글을 통해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적국에 먼저 부당한 양보를 제공하지 않을 것임을 재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았음에도 최근 완료된 바이든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에서 '한반도의 비핵화'를 최우선 목표로 명시했다며,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가 확실한 목표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반도 비핵화'를 사소한 수사적 표현의 차이로 볼 수 있지만 자칫 북측에 북한의 핵 능력 감소에 대한 대가로 한국, 일본 주재 미군 철수와 핵우산을 제거한다는 잘못된 뜻을 전달할 우려가 있다는 겁니다.
김 의원은 또 바이든 행정부가 북한 비핵화의 전제조건으로 인권에 대한 지지를 확고히 해야 한다며, 우선 2017년 이후 공석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김 의원은 이와 함께 한미정상회담 중 재미한인이산가족 상봉과 이를 촉구하는 법안에 대한 논의도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