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중·일 정상들이 남북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판문점 선언'을 지지한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어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은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이루면 국제사회가 북한의 체제를 보장해야 한다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북 정상이 발표한 ‘판문점 선언’을 지지하는 ‘특별성명’이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채택됐습니다.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9일 일본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완전한 비핵화’가 명시된 판문점 선언을 환영한다는 내용을 담은 특별성명을 공동 발표했습니다. 이 특별성명에는 남북 정상회담 이후 이어질 미북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3국 정상은 정상회의 직후 열린 공동 기자설명회에서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한·중·일이 공동 노력할 것이라고 천명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정착, 남북관계 개선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대단히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특별성명 채택을 통해 판문점 선언을 환영하고 지지해주신 것에 대해 리커창, 아베 신조 총리에게 감사드립니다.
이 자리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이 올바른 길을 걷는다면 북한과 국교 정상화를 지향할 것”이라며 “남북 정상회담을 치른 문 대통령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건설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미북 정상회담도 많은 기대를 하고 있으며 북한의 비핵화를 대화로 풀어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3국 정상회의 직후 아베 총리, 리 총리와 차례로 양자 회동도 가졌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일 정상회담에서 한국 정부의 대북제재는 국제사회와의 협의 없이는 완화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핵실험장 폐쇄와 대륙간탄도미사일 중단을 선언한 북한에 아직 보상을 해서는 안 된다는 아베 총리의 우려에 이 같은 답변을 내놓은 겁니다.
한국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결의없이 독자적으로 제재를 완화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있을 수 있지만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다”며 “한국이 독자적, 혹은 임의로 북한과 경제협력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 산림 관리 사업 등은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한일 정상회담 이후에는 한중 정상회담도 이어졌습니다. 한중 정상은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이행할 경우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북한의 체제를 보장해줘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총리는 북한의 비핵화 이후 대북 경제개발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방안 중 하나로 서울, 신의주, 중국을 잇는 철도 건설 사업이 검토돼야 한다는 의견을 주고받기도 했습니다.
양 정상은 향후 열리는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도 내비쳤습니다. 리 총리는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 의사를 가지고 있다”며 “이에 상응하는 미국의 조치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미북 정상회담은 두 번 다시 찾아오기 어려운 기회로 반드시 성공시켜야 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