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의 방위산업 보호를 위해 국가정보원과 민간 대학이 손을 맞잡았습니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 등에 맞서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한국의 명지대학교와 한국 국가정보원이 지난 13일 ‘방위산업 안보와 방첩 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MOU, 즉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
명지대학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명지대 유병진 총장과 국가정보원 업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하고 있는 한국 방위산업의 침해에 대응하기 위해 양 기관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국정원이 대학과 방산·방첩 관련 업무협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로써, 양 기관은 방위산업 안보와 방첩 분야에서 공동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학술교류와 인적 자원 교류,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학술행사 공동 개최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명지대 유병진 총장은 이날 “한국은 세계 6위에 달하는 국방력과 세계적 수준의 방위산업을 갖추었음에도, 방산 안보와 방첩 분야에 있어 학술연구의 기반과 전문인력의 숫자가 미흡한 실정”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방위산업과 국가안보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한전문매체인 NK뉴스는 14일 명지대 관계자를 인용해, ‘북한과 연계된 해커들이 백신 연구에서 암호화폐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를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북한 해커를 방어하기 위한 사이버보안도 다룰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와 함께, 최근 국정원이 사이버 보안과 방산·방첩 분야에서 여러 대학과 민관 네트워크, 즉 연결체계를 강화하는 추세라고 한국의 연합뉴스가 같은 날 전했습니다.
국정원은 오는 26일, 대전·충청권 대학 11곳에서 '윤리적 해커양성교육'을 할 예정이며, 지난달 지역사회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는 영남이공대학교에서는 다음 달 11일 중고생 대상 '해킹방어대회'도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 밖에도, 국정원은 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중앙대학교에 연구성과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관련 자료를 지원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자 홍알벗,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