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미북간 ‘적대정책’ 없애려 노력해야”

0:00 / 0:00

앵커: 미국에 차기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면 미북 간 적대적 정책을 없애는데 더 노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홍알벗 기자의 보도입니다.

영국 런던에 위치한 연구기관인 채텀하우스(Chatham House)는 16일, ‘한반도에서 바라 본 2020 미국 대통령 선거’(2020 US Elections–The View from the Korean Peninsula)를 주제로 온라인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미 대선이 끝나고 아직 당선자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았지만 토론회 참석자들은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의 대통령 당선을 전제로 향후 남북한 및 미북 관계에 관해 논의했습니다.

주한미국대사를 역임했던 미국 워싱턴의 캐슬린 스티븐스(Kathleen Stephens)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은 토론회에서 “바이든 당선자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트럼프 대통령 재임기간 불거졌던 각종 신경쓰이는 문제들을 신속히 해결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밀려나 있던 북한 인권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으로 내다 봤습니다.

스티븐스 소장: 인권문제요. 바이든 행정부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공석으로 놔뒀던 여러 직책 중 하나인 국무부의 북한 인권특사를 임명할 것입니다.

한국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의 존 델루리(John Delury) 교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필요한 것은 바이든 행정부를 어떻게 상대해야 할지 계획을 세울 시간”이라며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의 개인적 친밀감을 뛰어넘는 미북 양국 간의 적대적 정서와 정책을 먼저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델루리 교수: 바이든이 먼저 미북 정상회담을 하자고 할지, 아니면 김 위원장이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먼저 쏠지, 경쟁하는 듯한 구도가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편, 이번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조 바이든 후보가 306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면서 사실상 당선이 확정됐지만 현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