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연합훈련이 진행 중인 가운데 한미 북핵수석대표들이 대북 인도협력을 논의했습니다.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는 언제 어디서든 북한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한도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23일 서울에서 노규덕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대북 인도 협력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후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가 열린 것은 지난 6월 이후 두 번째입니다.
성 김 대표는 “이번 방문은 북한과 관련된 모든 사안에 있어 한국 정부와 최대한 긴밀한 협력을 유지하겠다는 미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신호”라고 밝혔습니다.
성 김 대표는 “미국은 남북 간 인도적 협력을 지지한다”며 “북한과 언제, 어디서든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대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성 김 대표는 또 현재 진행 중인 한미연합훈련에 대해서는 “순수하게 방어적 성격의 훈련”이라는 미국 정부 측 입장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10일 한미연합훈련 사전연습 개시 시점부터 훈련을 비난하는 담화를 연이어 발표하고 남북 통신선을 다시 단절한 바 있습니다.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미국은 북한에 대해 적대적 의도가 전혀 없습니다. 현재 진행 중인 한미연합훈련은 양국의 안보를 지탱하기 위한 정례적이며 순수하게 방어적 성격의 훈련입니다. 저는 계속해서 북한의 협상 상대를 언제 어디서든 만날 준비가 돼 있습니다.
노규덕 본부장도 한미는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가운데 대화가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한미 양국이 보건 및 감염병 방역, 식수, 위생 등 가능한 분야에서 북한과의 인도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노규덕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가능한 분야에서 북한과의 인도적 협력 방안을 논의했고 국제기구와 비정부 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성 김 대표는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 이후에는 한국을 방문 중인 이고르 마르굴로프 러시아 아시아태평양 차관을 만나 양자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양측은 이 자리에서 한반도 주변의 긴장 관리를 위한 양국 간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를 지낸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미국 정부가 최근 북핵 폐기 대신 북핵 동결로 입장을 바꾸고 대화에 나선 게 아닌지 물었습니다.
앞서 22일 성 김 대표를 만나 북핵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한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은 미국 고위 관리로부터 들은 바 없다며 사실이 아니라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정 장관은 미국은 북한에 적극적인 협의 의사가 있는 상태라며 한국 정부도 북한을 향해 이러한 미국의 대화 제의에 조속히 호응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의용 한국 외교부 장관: 미 내부에서 북한 핵문제를 군축과 같은 차원으로 협의를 해야 되는거 아니냐 내부 논의가 있다는 보도는저희는 미국 정부 고위 관리로부터 들은 적 없습니다. 우리는 북한이 이러한 미국의 대화 재개 제의에 가급적 조속히 긍정적으로 호응해줄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외교부에 따르면 성 김 대표와 정 장관은 22일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조기에 재가동하는 방안을 협의했습니다.
성 김 대표는 내일은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을 만납니다.
한국 통일부는 23일 양측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한미 간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자 한도형, 에디터 오중석, 웹팀 최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