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남북 연락사무소, 연락정상진행…오전엔 불통”

0:00 / 0:00

앵커 : 북한이 대북전단 살포 중단을 요구하며 한국 측에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폐쇄 가능성을 제기한 가운데, 한국 통일부는 연락사무소를 통한 남북 간 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18년 남북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에 따라 개성에 설치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북한 측은 지난주 발표한 담화 등을 통해 대북전단 살포를 중단하라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연락사무소를 폐쇄할 수도 있다고 위협해 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8일 오후, 연락사무소를 통한 남북 간 통화는 정상적으로 이뤄졌습니다.

다만 평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매일 두 차례에 걸쳐 이뤄지던 연락 가운데 이날 오전 통화가 북한 측의 무응답으로 불발되면서 연락사무소 개소 이후 1년 9개월 만에 첫 불통 사태가 빚어졌습니다.

여상기 한국 통일부 대변인 : 8일 오전 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한과 통화 연결을 시도했으나 현재 북측이 받지 않고 있습니다.

오전 불통의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한국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통화에서 북한 측은 오전 상황을 따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불통 사태가 발생한 것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한국 측의 조치를 요구하며 연락사무소 폐쇄를 언급한 지 나흘 만입니다.

앞서 김여정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자신의 이름으로 낸 담화를 통해 대북전단 살포 중단 조치를 내리지 않으면 연락사무소 폐쇄를 비롯해 금강산 관광 폐지와 개성공단 완전 철거,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등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음 날인 5일 밤에는 북한 통일전선부가 대변인 담화를 통해 김여정 제1부부장이 이와 관련한 첫 조치로 연락사무소의 완전한 폐쇄 검토 등을 지시했다면서 한국 정부를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북한 통일전선부의 이 같은 메시지와 관련해 “모든 남북합의를 철저히 준수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북한 측과 협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연락사무소와 달리 남북 간 군 통신선을 통해서는 8일 두 차례 모두 정상적인 통화가 이뤄졌습니다.

한국 국방부 관계자는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이날 오전 9시에 이어 오후 4시에도 남북이 군 통신선을 통해 정상적으로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남북 군사 당국은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이용해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4시 등 두 차례씩 정기적인 통화를 하고 있고, 특히 서해지구 군 통신선은 한국이 북한 측에 보내는 대북 전화통지문을 발송하는 통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통일부는 한국 민간단체들의 대북전단 살포와 관련해 이는 판문점 선언에 위배되는 것으로 중단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나타냈습니다.

앞서 한국의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은 이와 관련해 지난 5일 부대변인 논평을 내고 대북전단을 규제하는 법은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적 소지가 있다고 지적하며 관련 법안 추진을 중단할 것을 한국 정부에 촉구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