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군 당국은 북한이 군 총참모부 대변인 이름으로 군사행동을 예고한 것과 관련해 이를 실제 행동에 옮긴다면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17일 관영매체를 통해 한국을 향한 군사행동을 시사한 북한.
북한 군 총참모부 대변인 이름으로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금강산 관광지구와 개성공단, 비무장지대(DMZ) 내 감시초소(GP)에 군부대를 다시 주둔시키고 서해상 군사훈련도 재개할 예정이라며 사실상 9·19 남북 군사합의를 파기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한국 군 당국은 즉각 북한 측을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한국 국방부는 이날 기자설명회를 통해 "그간의 남북합의들과 지난 2018년 '판문점 선언', '9·19 남북 군사합의'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각종 군사행동계획을 비준 받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군사행동을 실행에 옮길 경우 그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전동진 한국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이러한 조치는 지난 20여 년간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유지를 위해 남북이 함께 기울여온 노력과 성과를 일거에 무산시키는 조치로서 실제 행동에 옮겨질 경우, 북측은 반드시 그에 대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한국 국방부는 "현 안보상황과 관련해 북한 군의 동향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면서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안정적인 상황관리로 군사적인 위기 고조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도 북한 측 발표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금강산 관광지구와 개성공단을 군사지역화 하겠다는 북한 측의 발표를 남북 관계를 과거로 되돌려놓는 행위이자 한국 국민의 재산권에 대한 침해로 규정한 것입니다.
서호 한국 통일부 차관: 금일 북측의 발표는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이전의 과거로 되돌리는 행태이며, 한국 국민의 재산권에 대한 명백한 침해이다.
통일부는 그러면서 북한 측이 이에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추가적인 상황 악화 조치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한국 청와대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문재인 한국 대통령을 비난한 담화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이날 김 제1부부장이 6·15 남북 공동선언 20주년 기념행사에서 남북 간의 대화를 강조한 문 대통령의 축사를 원색적으로 비난한 담화를 낸 것과 관련해 "취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매우 무례한 어조로 폄훼한 것은 몰상식한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이 같은 언행을 더는 감내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윤도한 한국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이는 그간 남북 정상 간 쌓아온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일이며 북측의 이러한 사리분별 못하는 언행을 우리로서는 더 이상 감내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경고합니다.
지난 15일 비공개로 이뤄진 한국 정부의 대북특사 파견 제의 사실을 북한이 대외적으로 공개한 것과 관련해서는 "전례 없는 비상식적인 행위"라며 대북특사 파견 제안의 취지를 의도적으로 왜곡한 처사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최근 북한 측이 보인 일련의 언행은 북한에도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이로 인한 모든 사태의 결과에 대한 책임도 전적으로 북한 측이 져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기본적인 예의를 갖추기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김연철 한국 통일부 장관은 이날 최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겠다며 취임 후 약 1년 2개월 만에 사의를 밝혔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