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 행위 등을 엄정하게 처단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가운데 한국의 민간단체는 21일로 예고한 쌀 보내기 행사를 취소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전단과 페트병에 담은 쌀 등을 북한에 보내 온 한국 내 민간단체들을 남북교류협력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고 향후에도 이 같은 행위를 철저하게 단속하겠다고 밝힌 한국 정부.
19일에도 한국 통일부 기자설명회를 통해 대북전단 살포행위 등을 엄정하게 처단하겠다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조혜실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 한국 정부는 경찰 및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현장대응 등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남북교류협력법 등 위반에 대한 처벌을 병행하여 전단 등 살포행위를 엄정하게 차단하고 재발 방지를 견인해 나가겠습니다.
이는 해당 단체들이 대북전단 살포 등을 계속 진행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한국정부의 입장을 다시 밝힌 것입니다.
앞서 한국 내 민간단체인 ‘큰샘’과 ‘자유북한운동연합’은 각각 오는 21일과 25일 대북전단과 쌀을 담은 페트병을 살포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데 이어 비무장지대(DMZ) 일대의 비어있던 일부 초소에 경계 병력을 투입하는 정황도 포착됐지만 이처럼 한국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에 대한 기존 입장을 유지한 가운데, ‘큰샘’은 이날 21일로 예정된 쌀 보내기 행사를 잠정 보류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인천시가 같은 날 박정오 큰샘 대표와의 면담에서 남북 접경지역 주민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행사 취소를 요구한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통일부는 또 한국 정부와 대화를 한 적이 없다는 박 대표의 인터뷰 내용에 대해 “담당 과장이 통화하면서 대북 전단과 쌀 페트병 살포 행위를 중단해달라고 설득한 바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북한이 예고한 대남전단 살포 동향과 관련한 질문에는 “한국 경찰청에 따르면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북한 측이 대남전단을 살포한 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폭파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기능이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도 내놓았습니다.
통일부는 한국 측 연락사무소 인력에 대한 인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연락사무소 기능은 계속 유지돼야 한다”면서 그런 점 등을 감안해 인사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락사무소 폭파 피해 규모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피해손실액을 정확히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지난 2018년 9월 사무소 개소에 합의했고 당시 청사 개보수 비용으로 2백70만 달러 정도가 소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폭파된 청사에만 국한된 비용으로 한국 통일부는 지난 2018년 10월 국회 보고자료에서 청사에 2백80만 달러, 직원 숙소에 177만 달러, 식당 등 편의시설에 126만 달러 등 모두 800만 달러가 넘는 비용이 들었다고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청와대는 이날 오전 10시 40분 김연철 통일부 장관에 대한 면직안을 재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17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