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김정은, 1박 2일간 ‘전략적 밀월’ 과시”

0:00 / 0:00

앵커 : 중국 최고지도자로서는 1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한 시진핑, 즉 습근평 중국 국가주석에게 북한은 역대 최고 수준의 의전을 제공함으로써 전략적 밀월관계를 과시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시진핑, 즉 습근평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은 북한과 중국 두 나라의 끈끈한 관계를 대내외에 과시하는 계기가 됐다는 게 한국 외교가의 평가입니다.

북한으로선 중국과의 혈맹 관계를 과시함으로써 향후 있을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돌파구를 마련하는 한편, 러시아에 이어 중국 정상까지 잇달아 만남으로써 북중러 연대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시 주석의 방북은 앞서 이뤄진 다른 국가 정상들의 경우와 비교해 환영행사부터 달랐습니다.

북한 측은 시 주석이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하자마자 한 차례 대규모 환영행사를 한 뒤 금수산태양궁전 광장에서 다시 환영식을 성대하게 열었습니다.

중국중앙방송은 금수산태양궁전 광장에서 외국정상 환영행사를 치른 것이 처음 있는 일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선대로부터 이어져 온 양국의 혈맹관계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선전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금수산태양궁전은 상당히 의미가 있는 것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잠자고 있는 성지라는 말이에요. 그런데 그 성지 앞에서 따로 환영식을 했다는 것은 김정은 위원장으로서는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친 북한과 중국의 70년 친선을 기념한다는 뜻이 담긴 것이죠. 그리고 대를 이어서 북중 친선관계를 이어가자는 뜻을 담고 있는 것이죠.

두 차례 환영행사에는 북한의 최고위급 간부들을 비롯한 이른바 ‘실세’들이 총동원됐습니다.

공항 영접에는 리수용, 김영철, 리용호 등 북한 외교 3인방을 비롯해 김여정, 그리고 김수길을 포함한 북한군 수뇌 3인방도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시 주석이 공항에서 금수산태양궁전으로 이동할 때도 북한 당국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와 북한 인공기를 든 수십만 명의 평양시민을 동원해 성대한 자동차 행진을 벌였습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상당히 많은 환영 인파가 동원됐다는 것, 과거에는 주로 길가에서만 꽃다발을 흔들고 환호했었는데 이번에는 아파트 창문을 열고도 하고 육교 위에서도 하고 상당히 자세하게 각본을 짰다는 것이죠.

이른바 ‘당 대 당’ 특수관계를 강조해온 만큼 시 주석이 북한 노동당 중앙본부를 방문한 것도 주목할 만한 부분입니다.

중국중앙방송에 따르면 이날 중앙본부에는 당 정치국원 전원이 나와 시 주석을 맞았습니다.

중국중앙방송은 또 김 위원장이 환영만찬 축사에서도 시 주석을 ‘가장 존중하는 중국 귀빈’이라고 부르면서 최고 예우를 갖췄다고 전했습니다.

시 주석이 묵은 숙소도 그동안 외빈 숙소로 이용돼 온 ‘백화원영빈관’이 아니라 이전에 거론된 적이 없는 ‘금수산영빈관’으로 알려졌는데 북한이 시 주석을 위해 새로 마련한 숙소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어 북중 정상 부부가 함께 관람한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불패의 사회주의’는 특급 의전의 극치를 보여줬다는 평가입니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을 위해 10만여 명이 동원되는 대집단체조를 대폭 수정했고 북중 우호를 강조하는 맞춤형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10만여 명이 하는 전면 카드섹션(배경대)에 중국 공산당 오성홍기와 더불어 그 가운데에 시진핑 주석의 얼굴을 넣는다든가 또는 중국식 복장을 한 무용단이 나와서 중국 전통공연을 한다든가 그런 것은 굉장한 우호감정, 친선의 표시죠.

시 주석은 방북 이튿날인 21일 김 위원장과 부부 동반으로 북중 우호의 상징인 북중 우의탑을 참배하면서 일정을 시작했고 오찬을 마친 뒤 김 위원장의 환송을 받으며 귀국길에 올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