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과 미국, 일본 3국 외교차관이 4년 만에 한 자리에 모여 대북공조 등 세계적인 차원의 다양한 문제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21일 도쿄에서 열린 ‘제8차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에 참석한 3국 외교차관.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과 최종건 한국 외교부 1차관, 모리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지난 2017년 10월 이후 근 4년 만에 열린 이날 협의회에서 한미일 3각 공조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이번 협의회는 셔먼 부장관의 동아시아 순방을 계기로 미국이 주도해 성사됐습니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협의회 직후 성명을 통해 한미일 3국이 한반도 비핵화 완성을 위한 공통된 헌신과 북한의 핵 프로그램 위협에 대한 주의를 재확인하고 규칙에 기반한 국제 질서를 훼손하려는 행위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전했습니다.
셔먼 부장관은 협의회 뒤 공동 기자설명회에서 “한미일 3국이 대북 정책 접근을 함께하고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점에서 이런 긴밀한 조율은 북한에 매우 중대한 메시지를 보낸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은 북한 문제에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고, 이를 북한도 알고 있다”며 북한의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했습니다.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북한이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감염병 사태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하지만 북한의 더 밝은 미래는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논의에 나서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그들이 알기를 바랍니다.
최종건 차관은 같은 자리에서 “북한 문제, 한반도 평화 정착방안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며 “문제 인식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는 일치했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한반도 비핵화는 긴 게임”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한미일 간 전략적 공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고,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외교에 방점을 두고 있는 만큼 북한의 반응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모리 차관도 이날 협의회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공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 이행의 중요성도 재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의한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해 한미 차관의 지지 표명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날 협의회에서 한반도 문제와 지역 및 세계정세 등 한미일 3국의 공동 관심사에 대한 의견교환이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3국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한 대화와 관여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현 상황의 진전을 위해 외교적인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한미일 3국은 향후 외교차관협의회를 정례 개최하기로 하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최종건 차관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협의회와 관련해 “4년 간 중단됐던 한미일 차관 협의회의 재복원이라고 보면 된다”며 향후 협의회가 한미일 공조에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셔먼 부장관은 일본에 이어 한국을 방문해 오는 23일 서울에서 최종건 차관과 제9차 한미 외교차관 전략대화를 갖습니다.
기사작성: 자유아시아방송 홍승욱 기자; 에디터 오중석, 웹팀 최병석